전기공사 이야기

반응형

VCR 편집 시스템 및 종류

 

 

1. VCR 편집 시스템

1) 1:1 편집

프로그램 편집은 기본적으로 복사 원리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선택한 화면이나 음성을 특정한 순서에 맞추어 이 테이프에서 저 테이프로 복사하는 과정을 통하여 이루어진다. 당연히 복사를 하기 위해서는 촬영 원본을 재생하는 플레이어(player)와 편집을 위한 녹화기(recoder)가 필요하다. 이처럼 단순히 플레이어 1대와 녹화기 1대를 이용하여 편집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1: 1 편집이라고 부른다. 대부분 프로그램 편집을 위해서는 이러한 1: 1 편집 과정을 거쳐야 하며 1: 1 편집의 주요 작업은 컷(cut)으로 이루어진다.

< Fig01. 1: 1 편집기 구성 >

 

녹화용 VCR에는 원하는 그림을 빠르고 정확하게 찾기 위한 조그 셔틀 다이얼, 그리고 재생기와 녹화기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는 MASTER(녹화기)와 SLAVE(재생기) 버튼이 부착되어 있다. 그림<Fig01>과 같이 연결한 후 녹화 VCR에서 SLAVE 버튼을 누르고 조그셔틀 다이얼을 돌리면 재생 VCR이 동작에 따라 움직인다.

 

2) A/B 롤 편집

A/B 롤(roll) 편집은 1: 1 편집의 확장된 형태로 두 대의 재생기를 모니터하면서 선택된 숏을 복사하여 녹화하는 방식이다. 편집 시스템에 효과기나 스위처 또는 믹서를 추가로 설치하여 종합 편집 전에 필요한 사전 작업을 한다.

< Fig02. A/B 롤 편집 시스템 구성 >

 

3) 종합 편집

내용이나 구성이 간단한 프로그램의 경우는 대부분 1: 1 편집을 거친후 곧 바로 종합 편집을 통하여 프로그램을 완성한다. 하지만 여러가지 특수 효과가 필요하거나 포맷이 복잡한 프로그램의 경우는 미리 부분적인 특수 편집을 마치고 최종적인 프로그램 완성 단계에서 종합 편집실을 이용한다. 종합 편집에서는 비디오 부분의 특수 효과와 자막 기능도 가능하다. 오디오 부분에 있어서도 음악과 음향 효과는 물론이고 필요한 경우에는 성우의 내레이션이나 오디오 더빙(dubbing)까지도 함께 할 수도 있다. 완성된 편집이기 때문에 타이틀 전의 테이프 사인(sign)부터 타이틀, 본 내용, 엔딩 타이틀까지 구성 대본에 따라 순차적으로 진행한다. 종합 편집이 끝난 테이프는 방송 송출을 위한 마스터 테이프가 된다.

< Fig03. 편집 시스템의 구성 >

 

 

2. VCR 편집 종류

1) 어셈블 편집

어셈블 편집(assemble editing)은 순서가 산만하게 분산되어 촬영된 영상·음성 테이프를 편집 대본의 순서대로 잘라 붙이면서 컷과 컷을 하나씩 이어 나가는 편집 방법이다. 편집 작업에 의하여 어셈블 편집이 이루어지면 녹화용 VCR 테이프의 비디오, 오디오, 타임 코드, CTL(Capstan Track Logic) 트랙에 이미 기록되어 있는 정보는 모두 소거되고 새로 입력되는 비디오, 오디오, 타임 코드, CTL 신호가 자동적으로 기록된다.

< Fig04. 어셈블 편집 방식 >

 

2) 인서트 편집

반응형

인서트 편집(insert editing)은 편집 대본에 따라 어셈블 편집을 완전히 종료한 후 일부분의 영상 및 음성을 삽입하는 편집 기법이다. 이미 기록된 트랙의 일부분을 지우고 새로운 영상과 음성으로 대체한다는 의미로 어셈블 편집과 달리 영상 또는 음성의 내용만 바뀔 뿐이고 타임 코드나 CTL 신호는 바뀌지 않는다. 인서트 편집에는 음성만 삽입하는 오디오 인서트(audio insert), 영상만 삽입하는 비디오 인서트(video insert)가 있다.

< Fig05. 인서트 편집 방식 >

 

2-1) 비디오 인서트

비디오 인서트는 이미 기록되어 있는 비디오 트랙의 일부분에 다른 영상을 새로 삽입하기 위한 편집 모드이다. 인서트가 시작되면 이미 기록된 영상이 지워지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① 인서트하고자 하는 장면을 FF/REW, PLAY 버튼을 이용하여 찾는다.

② 인서트 시작할 지점에서 두 VCR 모두 PAUSE 버튼을 누른다.

③ 녹화용 VCR의 VIDEO INSERT 버튼을 누른다

④ 두 VCR의 PAUSE 버튼을 누르면 인서트가 진행된다.

 

2-2) 오디오 인서트

단순히 하나의 음원만을 넣을 수 있지만 오디오 믹서를 사용하면 여러 음원을 혼합할 수 있다. 또한 녹음 레벨도 각 음원마다 적절히 조절할 수있기 때문에 음향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 Fig06. 오디오 인서트 연결도 >

 

 

3. 선형 편집 기법

프로그램의 내용을 명확하고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서는 숏과 숏 사이에 특별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인식시키는 화면 전환이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시간, 공간, 시기, 상황 등의 변화에 따라 이루어지며 프로그램의 형식이나 성격, 주제 등에 따라 다르게 표현한다.

1) 컷

컷(cut)은 가장 기본적인 화면 전환 방법으로 마치 칼로 자른 듯 하나의 숏에서 다른 숏으로 순간적으로 바뀌는 기법을 말한다. 연결되는 화면과 구도적으로 조화를 이룬다면 간결하고 산뜻한 이미지를 주는 화면전환 방법으로 직감적인 인상을 주기 때문에 감동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특히 대상을 강조하거나 동일한 피사체를 다른 각도와 화면의 크기로 다양한 시각적 변화를 주고자 할 때 사용된다.

< Fig07. 컷 편집 >

 

2) 디졸브

디졸브(dissolve)는 두 개의 화면을 순간적으로 전환시키지 않고 서로 겹치면서 앞의 화면을 서서히 사라지게 하는 동시에 다음 화면이 서서히 나타나도록 하는 화면 전환 기법이다. 믹스(Mix)라고도 하며 시간의 경과나 회상 장면 등에 사용하거나 서로 대조시킬 때 사용된다. 대개는 1~2초 정도의 짧은 효과를 주지만 슈퍼임포즈(superimpose)와 같이 5~6초 정도 길게 하거나 이중 노출로 분위기를 고조시키는 데 사용한다.

< Fig08. 디졸브 편집 >

 

3) 와이프

와이프(wipe)는 특수한 전환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뒤에 나타나는 영상이 앞의 영상의 일부분부터 없애 가는 장면 전환 방식이다. 패턴에 따라 수평이나 수직, 원, 사각형 등 다양한 효과를 낼 수 있다.

< Fig09. 와이프 패턴 >

 

4) 페이드 인/아웃

페이드 인/아웃(fade in/out)은 화면이 서서히 어두워지거나 밝아지는 것을 말한다. 보통 블랙이 되거나 화이트가 되는데 서서히 밝아지는 것을 페이드 인이라고 하며 어두워지는 것을 페이드 아웃이라고 한다. 이 기법은 속도에 따라 부드럽고 신중하며 평화로운 느낌을 준다. 주로 상당한 시간의 흐름이나 장소의 이동, 주제의 변화 등에 사용한다.

< Fig10. 페이드 인, 페이드 아웃 >

 

 

반응형

공유하기

facebook twitter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