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공사 이야기

반응형

동영상 편집 시스템의 종류

 

 

1. 비선형 편집 시스템의 구성

테이프는 VTR이 발명된 이래 여러 분야에 걸쳐서 사용되는 고전적인 기록 매체이다. 경제적인 가격, 장시간 기록 가능, 휴대 간편 등의 이유로 아직까지 영상 및 음향 기기의 보편적인 기록 매체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테이프는 선형 편집의 속성 때문에 한번 완료된 후에는 기록된 내용을 수정하기가 어렵다. 또한 편집이 반복되면 화질이 저하된다. 이러한 단점을 개선하면서 편집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비선형 편집(NLE: Non Linear Editing) 시스템이 1990년대 초에 등장하였다.

비선형 편집 시스템은 디지털 신호 처리 및 압축 기술의 발달, 컴퓨터 CPU의 고속화와 하드 디스크의 대용량화에 의하여 보편화되기 시작하였다. 영상 및 음향을 디지털 코드로 변환하여 하드 디스크에 저장한 후 스위처, VCR, 믹서 등의 선형 편집 장비의 사용 없이 컴퓨터 프로그램 작업만으로 컷의 교체, 트리밍, 효과 삽입 등 필요한 편집 작업을 하여 최종적인 영상을 구성한다. 작성된 영상은 필요에 따라 테이프에 복사하여 마스터 테이프를 제작한다.

< Fig01. 6 mm 테이프 >

 

1) 편집 시스템 구성

비선형 편집 시스템의 구성은 일반적인 PC의 구성과 크게 다르지 않다. 다만 방송사 수준의 화질 유지, 다양한 영상·음향 효과 부가, 신뢰성 있는 기록·재생을 확보하기 위하여 필요한 부가 장치와 성능이 요구된다.

 

2) 비디오 편집 카드

최근에는 카메라에서 직접 외장형 디스크에 영상을 기록하는 기술이 개발되었지만 비용 및 무게 등의 이유로 아직은 테이프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비선형 편집은 영상 자료를 PC의 하드 디스크에 기록하는 것으로부터 출발한다. 이 작업을 캡처(capture) 또는 업로드(upload)라고 하며 이에 필요한 기본 장비가 비디오 편집 카드이다. 또한 편집 카드는 편집 완료된 영상 자료를 주변 기기로 출력하는 기능도 수행한다.

편집 카드를 PC에 인식시키기 위해서는 제조 메이커에서 제공하는 소프트웨어를 시스템의 하드 디스크에 인스톨하여야 한다. 편집 카드는 기능과 성능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있으나 크게 세 가지로 나눌수 있다.

2-1) 아날로그 방식

일반적인 VCR과 같이 콤퍼짓 및 S-Video 영상, 그리고 스테레오 오디오 입출력 단자가 부착된 기종이다. 8 mm 및 S-VHS 같은 아날로그 캠코더 소유자에게 적합하다. 대표적인 제품으로는 피나클의 DC10, DC30, FAST의 A/V MASTER 2000 등이 있다.

 

2-2) 디지털 방식

IEEE-1394 규격의 DV 신호만 입출력 가능한 기종으로 업로드와 다운로드 과정에서의 화질 저하가 발생하지 않는다. 반면 아날로그 캠코더는 사용할 수 없다. 대표적인 제품으로는 피나클의 DV 300, FAST의 DVnow, 캐노푸스의 DV Raptor RT 등이 있다.

 

2-3) 아날로그 / 디지털 혼합 방식

콤퍼짓 및 S-Video는 물론 DV 단자가 동시에 부착된 기종으로 캠코더의 기종에 관계없이 사용 가능한 반면 가격이 비싸다. 대표적인 제품으로는 FAST의 DV MASTER PRO, 캐노푸스의 DV Storm RT등이 있다.

< Fig02. 캡쳐 보드 >

 

 

2. 비선형 편집 시스템의 종류

비선형 편집 시스템은 종류가 다양하므로 편집 시스템 선택 시 다음 사항을 고려하여 적합한 프로그램을 선택하여야 한다.

•합성의 질`: 화면 합성 시 합성 후 영상의 질 저하의 발생 정도

•변속 재생`: 슬로 모션이나 하이 스피드 재생 시 변속 범위 정도

•리얼 타임 프리 뷰`: 랜더링 시간을 해소하는 리얼 타임 프리 뷰 기능여부

•디지털 모니터링`: 타임 라인 상의 지정된 부분을 정지시켜 디지털로 출력하여 화질이나 색조 확인 기능 여부

•벡터스코프와 파형 모니터`: 편집한 영상에 대하여 색이나 휘도를 정량적으로 계측하는 기능 여부

 

1) 프리미어 프로(premire pro)

반응형

Adobe Premire CS 5가 최신 버전으로 범용 비디오 편집 프로그램이며 Window용과 Mac용이 따로 준비되어 있다. PC에 탑재된

IEEE-1394 단자를 통하여 디지털 영상의 입출력이 가능하고 소프트웨어만으로 모든 작업을 할 수 있다. 저렴하고 아마추어에게도 널리 보편화되어 있고 참고 서적이 많은 장점이 있다.

< Fig03. 프리미어 프로 편집 화면 >

 

2) 파이널 컷(final cut)

애플(Apple) 컴퓨터 본체와 편집 소프트웨어만으로 디지털 편집과 출력을할수있는 맥용 파이널컷 프로와 아이패드용 파이널컷 프로, 파이널 컷 카메라, 맥용 로직 프로와 아이패드용 로직프로 전용의영상편집소프트웨어이다.

< Fig04. 파이널 컷 편집 화면 >

 

3) 아비드 익스프레스 HD 프로(avid express HD pro)

Avid사에서 만든 전문가용 편집 프로그램으로 방송국에서 많이 사용된다. 시스템 구성에 따라 가격의 차이가 있으나 고가이다.

< Fig05. 아비드 시스템 >

 

4) 무비 메이커(movie maker)

마이크로 소프트사에서 만든 영상 편집 프로그램으로 캡처와 기본적인 편집 기능만 있다.

< Fig06. 무비 메이커 초기 화면 >

 

반응형

공유하기

facebook twitter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