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수신기 고장, 진단
가. 상용전원 감시등이 소등된 경우
① 수신기 커버를 연다.
② 수신기 내부 기판의 전원스위치가 “OFF” 위치에 있는지 확인한다.
③ 수신기 내부 기판에 퓨즈의 단선을 알리는 다이오드(LED)가 적색으로 점등되어져 있는지 확인한다. 만약 점등되어져 있다면 기판에 표시된 정격용량의 퓨즈로 교체한다.
④ 전원스위치와 퓨즈가 이상이 없다면, 전류전압측정계를 이용하여 수신기 전원입력단자의 전압을 확인한다.
◦ 입력전원이 “0V”로 전압이 뜨지 않으면, 수신기 전원공급용 차단기가 트립 되었거나, 정전된 경우이다
◦ 입력전원이 “220V”로 전압이 정상적으로 측정되면, 수신기까지 교류전원이 공급되는 상황이므로 다음 상황을 확인한다.
▸ 수신기 내부의 퓨즈가 단선되었는지 재확인
▸ 수신기 내부의 전원스위치가 “OFF” 위치에 있는지 재확인
▸ 퓨즈와 전원스위치에 문제가 없을 시에는 수신기 자체의 문제
▸ 전원회로부가 훼손된 경우 제조업체에 문의하여 정비
나. 예비전원 감시등이 점등된 경우
① 퓨즈가 단선된 경우
◦ 퓨즈 단선이나 프즈가 없을 시는 전원스위치를 끄고, 예비전원 컨넥터 분리후 기판에 표시된 용량의 퓨즈로 교체한다.
② 예비전원 충전부가 불량인 경우
◦ 충전부를 정비한다(충전부는 제조사별로 차이는 있으나 대부분 28V~ 32V 정도이므로 해당전압의 정상유무를 확인하고 이상 시는 제조업체에 문의하여 정비한다.
③ 예비전원이 불량인 경우
◦ 예비전원을 교체한다
▸ 예비전원 정상여부 확인방법
충전부는 정상이나 예비전원 부분에서 제조회사가 권장하는 시간이상 예비전원에 충전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정격전압 즉 24V의 ±20%(19.2~28.8V)가 아니면 비정상이므로 이때는 연결 커넥터를 분리하고 예비전원을 교체한다.
④ 예비전원 연결커넥터 분리 /접속 불량인 경우
◦ 예비전원 연결 커넥터가 분리된 경우 : 체결하여 놓는다.
◦ 예비전원연결 커넥터가 접촉불량인 경우 : 확실하게 체결한다.
⑤ 예비전원이 방전되어 아직 만충전 상태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
◦ 제조회사에서 권장하는 시간이상 충전한다.
▸ 제조회사에서 권장하는 시간은 통상적으로 8시간 이상 예비전원에 충전하였을 시예비전원감시등이 소등되었다면 예비전원은 정상이다.
다. 주화재표시등 또는 지구표시등 미점등 원인
점검에 앞서 주ㆍ 지구경종을 정지위치에 놓고, 수신기 단자대에서 해당 회로의 전압(4~6)을 확인후 점검을 한다.
① 발광다이오드가 불량인 경우(LED타입 수신기 )
◦ 지구회로의 발광다이오드(LED) 부분의 전압을 확인
▸ 전압지시치 약2~3V인 경우 : 발광다이오드를 교체
▸ 전압 지시치 0V(단선)인 경우 : 제조업체에 문의하여 정비
② 표시전구가 단선된 경우
◦ 전구의 단선유무를 확인 후 단선 시 교체한다.
③ 퓨즈가 단선된 경우
◦ 퓨즈가 단선된 경우는 퓨즈를 교체하고 없을시 퓨즈를 체결
④ 릴레이가 불량인 경우
◦ 릴레이의 가동접점이 검게 탄 흔적으로 해당 릴레이가 과부하로 인해 코일이 단선되었음을 확인하거나 동작시험 시 해당 릴레이 동작시 나는 소리로서 확인 하여 불량 시 릴레이를 교체한다.
라. 화재표시등과 지구표시등이 점등되어 복구되지 않을 경우
1) 복구스위치를 누르면 OFF, 떼면 즉시 ON되는 경우
① 수동발시기가 눌러진 경우
◦ 수동발시기를 복구한다.
◦ 해당 경계구역의 발신기 누름스위치를 당기거나 한 번 더 눌러 복구한 후 수신기에서 복구스위치를 누르면 정상으로 복구된다.
② 감지기가 불량인 경우
◦ 감지기 작동표시등이 점등된 경우 : 불량감지기를 교체한다.
◦ 감지기 작동표시등 미점등 시 : 불량인 감지기를 교체한다.
▸ 전류전압계로 회로선(+,-)의 전압을 확인한 후 측정전압이 4~6V인 경우에는 해당 구역의 감지기가 동작(감지기 내부회로 불량)된 경우이므로 해당 구역의 감지기를 정상적인 감지기로 교체한후 수신반에서 복구한다.
▸ 불량감지기 찾는 방법
◦ 해당구역의 감지기 챔버를 분리한 후 수신반에서 차례로 복구하여 본다.
◦ 이때 복구가 되는 감지기가 있다면 복구되는 감지기가 불량인 감지기이다.
③ 감지기 선로의 합선(단락,Short) 인 경우
◦ 선로를 정비한다.
▸ 전류전압계로 회로선(+,-) 의 전압을 확인하여 측정전압이 “0V”인 경우는 감지기선로의 합선(단락, Short)인 경우이므로 선로를 정비한다.
2) 복구되나 다시 동작하는 경우
① 현장감지기가 오동작하는 경우
◦ 일과성 비화재보로 인한 감지기가 불량인 경우이므로 현장의 오동작 감지기를 확인하고 청소 또는 교체한다.
▸ 복구스위치를 눌렀다 떼는 순간 약 “1~2초 후에 다시 동작하면 ⇒ 통상적으로 차동식 (열)감지기동작
▸ “3~10초 후에 다시 동작하면 ⇒ 통상적으로 연기감지기동작
마. 경종이 동작되지 않는 경우(주화재표시등과 지구표시등은 동작하는데 주,지구경종 미동작)
1) 주경종이 동작하지 않는 경우
◦ 주경종 정지스위치가 눌러 졌는지 확인 후 정상조치
◦ 주경종 정지스위치가 불량인 경우 또는 이상시 교체
(접속불량 또는 이물질로 인하여 스위치가 들어가서 나오지 않는 경우)
◦ 주경종의 단자전압을 측정하여 “24V”일 경우는 주경종이 불량이므로 주경종을 교체한다.
◦ 수신기 전압이 0V로 표시되는 경우는 수신기 내부회로의 문제이므로 수신기를 정비한다.
2) 지구경종이 동작되지 않는 경우
◦ 지구경종 정지스위치가 눌러졌는지 확인 후 정상조치
◦ 지구경종 정지스위치가 불량인 경우 또는 이상시 교체
(접속불량 또는 이물질로 인하여 스위치가 들어가서 나오지 않는 경우)
◦ 퓨즈가 단선여부를 확인하고 단선시 전원을 차단하고 예비전원 분리 후 퓨즈 교체
◦ 지구 릴레이의 정상 동작여부를 확인하고 불량일 경우 릴레이를 교체한다.
◦ 경종선로의 전압을 체크(공통⇒↔ 지구경종단자)하여 측정전압이 “24V” 정상인 경우 지구경종이 불량으로 경종 교체하고, 측정전압이 “0V”인 경우에는 경종선이 단선이므로 원인을 찾아 정비한다.
내열전선(FR-3),내화전선(FR-8)의 종류 / 특징 (0) | 2021.10.25 |
---|---|
소방시설(전기)점검실무 - 경보설비(수신기의 배선) (0) | 2021.09.14 |
소방시설(전기)점검실무 - 경보설비(수신기의 설치기준/시험방법) (0) | 2021.09.10 |
소방시설(전기)점검실무 - 경보설비(자동화재탐지설비의 경계구역) (0) | 2021.09.08 |
소방시설(전기)점검실무 - 경보설비(자동화재탐지설비) (0) | 2021.09.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