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비축적형 화재감지기
일정농도 이상의 연기를 전기적으로 검출하여 축적시간 없이 작동하는 감지기
1) 작동 원리
비축적형 화재감지기는 감지기가 실시간으로 화재 신호(연기, 열, 불꽃 등)를 30초 이내에 감지하여 즉각적으로 경보를 울립니다. 이 방식은 데이터를 축적하거나 분석하지 않고, 감지된 신호가 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할 경우 바로 경보를 발신합니다.
2) 주요 설치장소
· 교차회로에 사용되는 감지기
· 축적기능이 있는 수신기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감지기
· 급속한 연소확대 우려가 있는 장소
3) 장점
· 즉각적 대응 : 화재를 빠르게 감지하고 즉시 경보를 울리므로, 신속한 대피와 초기 대응이 가능합니다.
· 간단한 구조 : 복잡한 데이터 분석이 필요 없기 때문에 시스템이 단순하고, 설치와 유지보수가 상대적으로 용이합니다.
4) 단점
· 오탐지 : 특정 조건에서 오탐지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담배 연기나 먼지 등으로 인해 잘못된 경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2. 축적형 화재감지기
일정농도 이상의 연기가 일정시간(공칭축적시간) 연속하는 것을 전기적으로 검출함으로써 작동하는 감지기
1) 작동 원리
축적형 화재감지기는 30초 이내에 감지한 후 감지된 데이터를 약50~60초 동안 축적하고 그 이후에 화재신호를 발신(공칭축적시간은 10초이상 60초이내의 범위에서 10초 간격으로 설정)합니다. 이를 바탕으로 화재 징후를 분석하고 여러 신호의 패턴이나 변화를 분석하여 경보를 울릴지 여부를 판단합니다.
2) 주요 설치장소
· 일시적 열, 연기, 먼지등에 의해 오동작할 우려가 있는 장소
· 지하층, 무창층 등으로 환기가 잘 되지 않는 장소
· 실내면적이 40㎡미만인 장소
· 감지기 부착면과 실내바닥 높이가 2.3m 이하인 장소
3) 장점
· 정확성 : 축적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경보를 울리기 때문에, 오탐지 가능성을 줄이고, 보다 정확한 경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 분석기능 : 축적된 데이터를 활용해 화재 발생의 초기 징후를 감지하거나, 장기적인 데이터 분석을 통해 화재 발생 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습니다.
4) 단점
· 지연된 반응 : 데이터를 축적하고 분석하는 과정에서 경보 발신이 지연될 수 있어, 즉각적인 대응이 필요한 상황에서는 단점이 될 수 있습니다.
· 복잡성 : 시스템이 복잡해지고, 설치 및 유지보수에 더 많은 비용과 시간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소방발신기(Manual Call Point, MCP)의 작동방법 및 설치기준 (0) | 2024.08.16 |
---|---|
화재감지기 설치기준 및 설치수량 산정방법 (0) | 2024.08.14 |
감지기의 설치기준 - 설치장소 / 장소별 감지기 종류 (0) | 2024.08.12 |
감지기(Fire Detector)의 종류 - 불꽃감지기, 다신호식감지기, 주소형감지기 등 (0) | 2024.08.09 |
연기감지기(Fire detector)의 종류 - 이온화식감지기, 광전식감지기 (0) | 2024.08.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