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공사 이야기

반응형

소방설비 결선도 - 수신기, 프리액션밸브, 방화댐퍼, 방화셔터 등

 

 

1. 소방수신기 결선도

1) 발신기 세트

수신기의 종단저항은 10㏀ 입니다.

 

2) 비상방송 설비 및 직상경종

 

3) 스프링클러 (유수검지장치, 알람밸브, 드라이밸브)

 

4) 스프링클러 (프리액션 밸브, 일제개방식 밸브)

 

5) 댐퍼(담파)

· 제품과 현장여건에 따라 결선 방법이 달라질 수도 있습니다.

· 담파 확인 측 극성에 따라 담파 측에서 +극성과 -극성을 확인해야 합니다.

 

6) 방화문

· 제품과 현장여건에 따라 결선 방법이 달라질 수도 있습니다.

· 방화문 확인 측 극성에 따라 점선부분을 사용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7) 방화샷다

· 제품과 현장여건에 따라 결선 방법이 달라질 수도 있습니다.

· 수신기 측 확인 극성에 따라 (+)24V측 배선을 사용 할 수도 있습니다.

 

8) 배연창

· 제품과 현장여건에 따라 결선 방법이 달라질 수도 있습니다.

· 수신기 측을 (-)확인으로 표시한 것이므로 (+)확인 시 방법이 달라집니다.

 

9) 유도등

· 유도등용 별도의 릴레이 부착 시는 결선 방법이 달라질 수도 있습니다.

 

10) 소화가스설비(주 수신기)

· 가스 수동조작함은 당사 제품을 기준으로 한 것이므로 타사 제품과 결선시 결선 방법이 달라질 수도 있습니다.

· 방출 입력측 극성에 따라 결선 방법이 달라질 수도 있습니다.

 

11) 소화가스설비(부 수신기)

· 부 수신기 측에 복구 및 방출정지등 부가장치 사용 시 결선 방법이 달라지며 전선 가닥수도 추가 됩니다.

 

12) PUMP 및 FAN

· 제품과 현장여건에 따라 결선 방법이 달라질 수도 있습니다.

· 수신기 측을 확인등을 AC220V로 표시한 것이므로 DC24V 확인 시 결선 방법이 달라질 수도 있습니다.

· 당사 수신기중 DIGITAL식 수신기는 DC24V~AC220V중 어느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합니다.

 

13) 보조전원반

· 제품과 현장여건에 따라 결선 방법이 달라질 수도 있습니다.

· 본 보조전원반은 시각경보기 및 객석유도등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2. 수신기에서 이상현상 발생시 확인사항

반응형
이상 발생 상황
확인 및 점검요령
1. 교류전원 표시등이 점등되지
않을 때
• AC입력전압을 테스터로 확인한다.
• 전원스위치가 ON 상태인가
• 교류전원 FUSE LED가 점등 되었는가(FUSE교체)
• 입력전압, 전환S/W가 입력전압과 동일한 위치인가
2. 예비전원 고장표시등이 점등될 때 예비전원시험 스위치에 의하여
자동 전환이 되지 않을 때
• 내부의 예비전원 소켓 연결확인
• 내부의 예비전원 휴즈 단선확인
• 예비전원이 방전된 후 충전 상태에 도달되어 있는가
3. 화재, 지구 표시등이 점등되어
화재 복구
스위치를 눌렀으나 복구 되지
않을 때
• 자동복구 시험 스위치를 눌러 해당 지구 표시등이 확인한 후
해당지구 선로를 단자에서 분리 합니다.
이때 지구 및 화재 표시등이 소등되면 외부선로에
이상이 발생한 것이므로 다음사항을 확인 합니다.
• 해당 감지기 선로 단락(합선)되어 있는가
• 감지기 선로 배관에 누수등으로 물기가 있는가
• 발신기 램프가 점등되어 있는가(해당 구역의 발신기 동작)
4. 회로시험이 되지 않을 때
• 동작시험 스위치가 눌러 있는가
• 도통시험 스위치가 해제되어 있는가
5. 경종, 싸이렌 경보가 되지 않을
• 지구경종, 싸이렌 연동 스위치가 정상, 연동으로
되어 있는가
• 경종, 싸이렌 자체 불량이 아닌가
6. 담파,프리액션밸브,샷다,배연창
등이, 자동 또는 수동으로 동작
되지 않을 때
• 조작스위치가 자동 또는 수동 위치에 놓여 있는가
• 선로 단선이나 자체 결함이 있는가
7. 화재가 아닌데 지구표시등 및
화재 표시등이 점등되어 복구
스위치를 누르면 소등 되었다가
잠시 후 다시 점등 될 때
• 감지기가 오동작이므로 감지기를 교환하거나
현장여건에 적합한 감지기를 교체해야 합니다.
8. 기타 이상 현상 발생 때
• 제품을 구입한 대리점이나 당사 A/S부로 연락해야 합니다.

 

 

3. 수신기 외부 결선시 숙지사항

수신기의 외부 결선 시에는 다음사항을 숙지한 후 결선작업을 하여 주시길 바랍니다.

품 명
회로당 정격전류
접속 제한 조건
비 고
1) 감지기
감시전류 100㎃ 이하
회로당 열 연기식 감지기
10개이하
 
2) 지구경종
DC24V 1A 이하
경보출력 1회로당 20개까지
접속
50㎃×20EA= 최대1A
3) 표시등
DC24V 30㎃ 이하
발신기 회로수×30㎃= 표시등 전원공급용량
LED형 기준
4) 전자싸이렌
DC24V 1A이하
동시 경보 싸이렌 개수
3개이하
300㎃×3=0.9A
5) 각종 소화 배연
용 설비기동 출력
DC24V 300㎃ 이하
설비기동출력 회로당 300㎃ 이하
릴레이식-기동출력:+24V
입력확인:+24V
DIGITAL식:
기동출력:+24V
입력확인:-24V입니다.
6) Pump & FAN,
MCC 연동
220V 5A 이하
MAGNET RY COIL 전류치를 1A 이하로 제한함
초과 시에는 보조
RELAY를 부착하여
사용해야 한다.
7) 유도등 연동
220V 5A 이하
유도등 부하를 직접 연결하지 말것
초과 시에는 보조
RELAY를 부착하여
사용해야 한다.
8) 청각장애인용
시각경보기
시각경보기
1개당 소비전류:
DC24V 250㎃
수신기측 경종과 병렬로
설치 하지 말 것
(자동화재탐지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203)의
제8조 2,3항에 의거
-2003,12,26)
별도의 보조전원반을
설치 할 것.

상기의 정격 사양을 초과 하는 경우 휴즈 단선 및 부품의 파손등이 발생되거나 이상한 현상을 일으킬 수 있는 경우가 있습니다.

 

반응형

공유하기

facebook twitter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