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정전기 발생원리
(1) 개요
두 물체의 접촉과 분리로 인한 접촉면에서의 전기 이중층의 형성과 분리에 의한 전위 상승 및 분리된 전하 소멸의 단계로 이러한 과정이 연속적으로 일어날 때 정전기는 발생한다.
2. 정전기의 장해
(1) 인체의 전격 발생 한계
정전기가 대전되어 있는 인체가 접지 혹은 대전되어 있는 다른 물체와 근접하여 방전하는 경우와 대전되어 있는 물체에 인체가 근접하여 방전하는 경우가 있다.
1) 인체로부터 방전
인체에 대전된 전하량이 2~3×10-7(C) 이상 되면 이 전하가 방전하는 경우 통증을 느끼게 되는데 이 전위를 실용적인 대전전위로 표현하면 인체의 정전용량을 보통 100(PF)로 할 경우 약 3(kv)이다.
2) 대전된 물체로부터 인체로의 방전
대전된 물체에서 인체로 방전시 전격 전하량은 2~3×10-7(C) 이상의 방전 저하량이 인체에 방전시 전격을 받게 된다.
3) 인체의 대전전위와 전격의 강도와의 관계
(2) 화재 및 폭발의 발생
1) 정전기의 방전 에너지가 최소 착화에너지 이상 되면 가연성 Gas 또는 폭발성 물질이 존재하는 경우 화재 및 폭발이 발생하게 된다.
2) 화재․폭발은 정전기의 방전현상에 의한 결과로 가연성 물질이 연소되어 일어나는 현상이다. 그러나, 정전기 방전이 일어났다 하더라도 그 방전에너지가 가연성물질의 최소 착화에너지보다 작을 경우에는 화재․폭발은 일어나지 않는다. 화재․폭발은 대전물체가 도체일 경우에는 대전에너지에 관련되고, 부도체일 경우에는 대전에너지보다는 대전전위에 관련되나 정확한 기준을 제시하기는 어렵다
3) 가연성가스, 액체 증기의 착화 위험성의 관계
(3) 생산 장애
1) 역학현상에 의한 장애 : 정전기의 흡인력 또는 반발력에 의해 발생되는 것으로, 분진의 막힘, 실의 엉킴, 인쇄의 얼룩, 제품의 오염 등 그 예가 아주 많다.
2) 방전현상에 의한 장애 : 정전기의 방전시 발생하는 방전전류, 전자파, 발광에 의한 것이 있다.
① 방전전류 : 반도체 소자 등의 전자부품의 파괴, 오동작 등
② 전자파 : 전자기기, 장치 등의 오동작, 잡음 발생
③ 발광 : 사진 필름 등의 감광
2023 장마철 건설현장 핵심안전조치 (0) | 2023.06.26 |
---|---|
220601 건설업 산업안전보건관리비 사용범위 확대 - 개정내용 [고용노동부] (0) | 2022.09.27 |
전기안전 예방교육자료 - ④접지 및 피뢰설비 (0) | 2021.06.17 |
전기안전 예방교육자료 - ③전기작업안전, 전기화재 (0) | 2021.06.15 |
전기안전 예방교육자료 - ②전기의위험성, 전격재해 (0) | 2021.06.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