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와트 전구 바로 아래 1m의 조도가 대략 100룩스라고 합니다.
2m 아래는 25 룩스구요..
그러니까 100와트 전구에서 2.8 미터 정도 떨어진 곳의 밝기가 10 룩스가 되겠네요..
빛의 단위 : nm(나노미터)
빛은 전자파의 일종으로 사람의 눈을 통해 밝기로서 감지될 수 있는 가시광선이라고 불리는 파장이며 전자파에는 빛 외에도 TV, 라디오, 레이더 등 통신에 사용되는 전파와 X선, 자외선, 적외선 등이 있습니다.
가시광선은 전자파의 스펙트럼 중 380~780 nm 사이의 파장을 말하며 파장의 길이가 짧은 쪽으로부터 긴 쪽으로 이른바 일곱 가지의 색(보라색부터 빨간색까지)으로 나뉩니다.
가시광선이라고 불리는 파장을 가지는 빛들이 모여서 나타내는 것이 색입니다. 빛의 파장에는 nm(나노미터)라는 단위가 사용되며 이것은 1mm의 100만분의 1(1 nm=1 x 10-6 )mm이라는 길이를 나타냅니다.
광속의 단위(luminous flux) : lm(루멘)
광원으로부터 나오는 모든 빛(가시광)의 총량
광도의 단위(luminous intensity) : cd(칸데라)
빛의 강도를 말하며 광원으로부터 어떤 방향으로 얼마만큼의 광량이 방출되는지를 나타냅니다.
조도의 단위(illuminance) : lux(룩스)
광속과 빛이 비춰지는 면적과의 비례를 말하며 1 lux란 1㎡의 면적 위에 1lm의 광속이 균일하게 비춰질 때를 말합니다.
휘도의 단위(luminance) : cd/㎡, nt(니트)
어떤 방향으로부터 본 물체의 밝기를 휘도라 합니다. 조도가 단위면적당 얼마만큼의 빛이 도달하는가를 표시하는 단위라면 휘도는 그 결과 어느 방 향으로부터 보았을때 얼마만큼 밝게 보이는가를 말합니다.
광원의 휘도와 빛이 비춰지는 면적은 빛의 밝기를 감지하는 데 중요한 요인입니다.
룩스는 단위면적당 입사된 입사 광속 (radiant flux)를 의미하며, 특히 가시광선영역의 입사광속을 광속(luminous flux)라 합니다.
그리고 luminous flux의 단위는 lumen (lm)이지요.
즉 lux = lm / area (㎡) 가 되지요.
그래서 얼마만한 면적을 비추느냐에 따라 lux의 값은 변하게 되는 걸루 알고 있습니다.
300룩스를 예로 들어 말씀드리자면 백색형광램프 20 W의 광속(lm)은 약 1500lm 정도가 됩니다.
만약 10㎡을 비춘다면 150lux가 되고 300 lux를 만들려면 두개의 20 W 형광램프가 있으면 됩니다.
절연저항계(Insulation Resistance) 사용법 - 절연저항 측정방법 (0) | 2021.05.24 |
---|---|
조명 용어 및 기준 / 조도계 측정방법 / 조도계의 종류 (0) | 2021.05.14 |
LED조명 AC제품 과 DC제품의 차이점 (0) | 2021.05.10 |
조명의 색온도/ 켈빈(K) / 조명색상 정리 (0) | 2021.05.06 |
센서(Sensor)의 종류 - ⑥컬러센서 (0) | 2021.04.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