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비디오 스위처의 주요 기능
믹서는 잘라내기(cut)뿐만 아니라 다양한 전환 효과를 만들어 낼 수 있다. 디졸브(dissolve)부터 패턴 와이퍼(pattern wipe)까지 다양하다. 또한 대부분의 영상 믹서는 키잉 기능을 수행하여 색신호를 만들 수 있다.
< Fig01. 스위처의 기능 키 >
1) 화면 전환
화면 전환(transition)이란 장면을 구성하는 최소 단위인 컷(cut)과 컷을 서로 연결하여 나가는 기법으로 스위처에서는 다수의 입력 영상 신호중에서 하나를 선택하거나 특별한 영상 효과를 가함으로써 이루어진다.
① 컷
컷(cut)이란 스위처로 입력 소스 같은 버스 사이에서 순간적으로 한 화면에서 다른 화면으로 바꾸는 기법이다. TV의 전환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기본적인 기법으로 스위칭 테이블의 누름 버튼 스위치로 전환한다. 컷은 두 화면의 중간적인 불필요한 것을 생략하여 순간적으로 전환하기 때문에 이야기 전개를 빠르게 하는 이점이 있고 발랄한 느낌을 주어 빠른 속도로 스토리를 전개하여 나가는 데 적합하다. 뉴스와 쇼 같은 버라이어티 프로그램 등에 많이 사용된다.
② 믹스
믹스(mix)는 다른 영상을 두 개의 버스로 선택하여 믹스 앰프를 개입하여 서서히 바꾸어 가는 방법을 말한다. 두 개의 영상 레벨이 상대적으로 변화하여 가는 일반적인 믹스를 오버랩이나 디졸브라고 한다. 검은색 또는 흰색 컬러로부터 영상에 오버랩하는 경우를 페이드 인(fade in), 그 반대를 페이드 아웃(fade out)이라고 한다. 또한 오버랩하는 도중에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를 더블 엑스포저라고 한다.
③ 와이프
와이프(wipe)란 화면이 빗자루로 쓸리듯이 감추어지면서 그 사라진 자리를 다른 영상이 차고 들어오는 화면 전환 기법이다. 화면 전환부의 기능 버튼 중에서 와이프(wipe)를 선택하고, 입력 선택부의 프로그램 버스와 프리셋 버스에서 영상 신호원을 다르게 선택하여 페이드 레버를 위에서 아래 또는 아래에서 위로 움직이면 두 화면이 겹쳐지면서 와이프 효과가 얻어진다.
와이프 패턴에는 많은 종류가 있으나 스위처에 따라 크게 달라진다. 파형에 둘러싸인 기본적인 패턴 이외에 로터리 패턴이나 매트릭스 패턴 등이 있다. 와이프를 하기 위한 도형에는 원형, 정사각형, 별, 모자이크 등 여러 가지가 있는데 이러한 파형 신호를 만드는 것이 효과 파형 발생기이다. 서로 내용이 다른 소재를 비교하거나 장면의 전환 또는 시간의 경과를 표현할 때 주로 사용한다.
④ 슈퍼
슈퍼(super)는 여러 개의 영상을 중첩하여 하나의 영상을 만드는 기법으로 타이틀, 인명 소개, 설명 문자 등의 문자를 화면에 슈퍼하는 경우나 환상적인 화면을 표현하거나 동일 인물의 두 개의 영상을 한 화면에 나타낼 때에 사용된다. 디졸브 조작의 페이더를 도중에 멈추면 슈퍼가 된다.
2) 영상 합성
흑백의 마스크(키) 신호를 사용하여 영상을 합성하는 회로로, 마스크를 만들어 내는 방법에 따라 셀프키 모드와 익스터널(external) 모드 두 종류의 키가 있다. 키 기능의 종류에는 루미넌스 키, 크로마키, 외부 키가 있다.
① 크로마키
크로마키(chroma key)는 한 영상을 다른 영상과 겹쳐 색을 빼는 기술이다. 스튜디오에서 제작이 불가능한 장면에 스튜디오에 있는 출연자를 중첩시키는 등의 제작에 활용된다. 스튜디오의 사람이 청색을 뒷 배경으로 한 보드 앞에 서 있으면 전기적으로 색상의 차를 판별하여 키 신호가 만들어진다. 청색은 인간의 안면색과 보색에 가까워서 분리하여 내기가 용이하다. 합성 화면의 경계에 지터(jitter)가 발생하는데 배경색이 피사체의 것과 비슷하면 부자연스러움이 있는데 이러한 부자연스러움을 개선한 소프트 크로마키도 실용화되고 있다.
② 루미넌스 키
루미넌스 키(luminance key)는 입력되는 영상 신호의 밝기를 기준으로 전경(foreground)의 영상을 배경(background)의 영상에 합성하는 기법이다. 투명도를 적용하여 실제 불 같은 장면이나 자막 효과 등에 쓰일 수 있다.
< Fig02. 크로마키의 원리 >
③ 외부 키
외부 키(external key)는 외부에서 만들어진 키 신호를 이용하여 배경 영상에 전경 영상을 중첩하는 기법이다. 문자 발생기 또는 DVE와 같은 영상 장비에서 만들어진 문자 또는 영상은 스위처 자체 내에서 키 신호를 만들어 낼 수 없으므로 이들 장비들은 영상 출력과 함께 키 신호 출력 기능을 동시에 가지고 있다.
뉴스 프로그램의 기획 및 제작 기법 (0) | 2025.05.13 |
---|---|
VCR(Video Cassette Recorder)의 원리 (0) | 2025.05.08 |
비디오 스위처의 개요 (0) | 2025.05.02 |
카메라 렌즈(Camera lens)의 종류 (0) | 2025.04.30 |
카메라의 구성 및 카메라의 원리 (0) | 2025.04.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