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공사 이야기

반응형

R형 수신기의 구성 및 작동방법

 

 

 

1. R형 수신기의 신호전송

R형 수신기는 고유신호인 통신신호로 교신한다. 통신신호를 발신하는 주소형 감지기와 발신기의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R형 수신기와 직접 연결된다.

그러나 통신신호 발생장치가 내장되지 않은 감지기(비 주소형감지기)를 사용하는 경우는 공통신호(접점신호)를 고유신호(통신신호)로 변환시켜 줄 수 있는 신호변환장치인 중계기를 사용한다.

 

 

2. 중계기

중계기는 접점신호를 통신신호로, 통신신호를 접점신호로 변환시켜주는 신호변환장치의 역할을 한다. 중계기를 거치는 신호는 입력신호와 출력신호로 구분할 수 있는데, 이 입력신호와 출력신호의 수에 따라 분산형 중계기와 집합형 중계기로 분류된다.

입력신호는 자동화재탐지설비의 감지기와 발신기의 작동신호, 소화전 펌프의 작동확인, 압력스위치의 작동, 저수위신호, 스프링클러의 습식 및 준비작동식 밸브 개방확인, 방화셔터의 작동신호 등과 같이 수신기에 전달되어할 신호가 되며, 출력신호는 경보장치의 기동, 소화전펌프의 작동, 스프링클러의 습식 및 준비작동식 밸브의 개방 등과 같이 수신기에 의해 작동되는 신호이다.

 

 

< Fig01. 중계기 >

 

1) 분산형 중계기

분산형 중계기는 입력/출력 Point에 따라 입력1/출력1, 입력2/출력2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어떠한 중계기를 사용하느냐는 입력과 출력 신호가 몇 개인지에 따라 결정된다. 분산형 중계기의 전원은 수신기로부터 공급된다.

분산형 중계기를 사용하는 시스템은 다음과 같이 자동화재탐지설비 , 전실댐퍼 , 알람밸브, 방화셔터 등의 각 계열별로 연결된다. 필요한 중계기의 숫자는 경계구역, 전실댐퍼 , 알람밸브, 방화셔터의 수만큼 필요하다.

 

 

< Fig02. 분산형 중계기 계통배선 >

 

2) 집합형 중계기

집합형 중계기는 하나의 함에 많은 입력/출력 포인트를 구성한 것으로 우리나라에서는 입력32/출력22 중계기를 많이 사용하고 있다. 집합형 중계기의 전원은 수신기로부터 공급받는 것이 아니라 별도의 전원(AC200V)을 사용하며, 내부에 정류기 및 비상축전지를 내장하고 있어 전원공급계통 사고시에도 정상적인 동작을 수행한다.

수신기와 중계기간의 선로에 문제가 있어도 중계기가 독립제어 기능에 의해 자동절환되어 정상적인 방재업무를 수행한다.

 

 

3. R형 시스템의 구성

반응형

1) 일반형감지기를 사용하는 경우

< Fig03. 중계기를 사용한 R형 시스템 >

 

통신신호발생장치가 없는 일반형 감지기를 R형 수신기와 함께 구성하기 위해서는 신호변환장치인 중계기를 사용하고, 경종, 시각경보기, 솔레노이드 등을 작동시키기 위해 중계기를 사용하여 수신기의 출력신호를 전달하는 시스템으로 구성된다.

 

2) 아날로그식 감지기를 사용하는 경우

통신신호를 발생하는 주소형감지기인 아날로그식 감지기는 감지기주변의 온도 또는 연기의 농도를 송신하는 감지기이기 때문에 이를 수신하고 표시할 수 있는 아날로그식 수신기를 사용한다. 그리고 통신신호발생장치가 없는 발신기와 압력스위치로부터 신를 받기 위해서는 중계기를 사용한다. 그리고 경종, 시각경보기, 솔레노이드 등을 작동시키기 위해서 중계기를 사용하여 수신기의 출력신호를 전달하는 시스템으로 구성된다.

< Fig04. 아날로그식 감지기를 사용하는 경우 >

 

 

4. R형 수신기의 표시장치

R형 수신기는 화재위치 및 회로단선 표시를 LCD창에 문자로서 표시를 한다. 그러나 회로수가 많아지면 이를 일일이 찾아보아야 하는 불편한 점이 있어 이를 보완하기 위해 많은 방재실에서는 CRT모니터와 그래픽 표시반을 설치한다.

 

1) CRT모니터

수신기로터 받은 정보를 모니터를 통해 건물의 평면도와 단면도에 작동된 소방시설의 종류와 위치를 자동적으로 표시하여 작동상태를 쉽게 알아볼 수 있게 한 것이다. 모니터 상에 표시되는 내용은 자동화재탐지설비에 관련된 내용뿐만 아니라 그 건물에 설치된 모든 소방시설, 방화시설도 포함한다.

그리고 관리의 편리성을 높이기 위하여 건물투시도 및 개요도, 소방시설일람표, 방재관리일지 및 비상상태 발생시 조치안내 등에 관련된 화면을 제공하며 과거에 발생된 방재정보를 보존하여 기간별로 동작된 방재기록을 확인할 수 있다. 제어하는 방식은 Touch Screen을 이용한 제어방식, 마우스를 이용한 제어방식, Light Pen을 이용하는 방식이 있다.

< Fig05. R형 수신기의 표시장치 >

 

2) 그래픽 표시반

주요구성품은 LED와 모자이크 타일로 구성되며 수신기에서 신호를 받아 심볼 처리된 모자이크 타일에 LED램프를 점등시키는 장치이다. 건물의 계통도 또는 건축물의 실제형태의 그림에 소방설비를 표현하므로 그 건축물의 설비현황 및 동작유무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

표시내용은 자동화재탐지설비의 화재감지기 및 발신기 작동상태뿐만 아니라 소화전, 알람밸브, 프리액션밸브 작동, 저수위 표시,가스소화설비 내의 감지기 작동 및 약제방출표시 . 전실감지기 및 댐파 작동표시 , 제연휀 작동감시, 방화문 및 방화셧터 작동감시 등을 표시한다.

< Fig06. R형 시스템으로 구성된 방재센터 >

 

 

5. R형 수신기의 스위치 및 표시등

R형 수신기도 P형 수신기와 마찬가지로 자동화재탐지설비의 기본적인 기능을 가지고 있어야 하며 , 단지 표시하는 방법에 차이가 있을 뿐이다.

 

< 표01. 화재가 발생했을 때 >

감지기 작동시
P형
R형
화재표시
화재표시등 점등
화재표시등 점등
경보장치
경보장치 기동 출력
경보장치 기동 출력
화재위치표시
지구표시등 점등
LCD창에 문자로 표시
기타
 
CRT모니터 및 그래픽 표시반에 표시 (단 설치가 되어 있을 때)

 

< 표02. 발신기가 작동했을 때 >

발신기 작동시
P형
R형
발신기작동표시
발신기작동표시등 점등
발신기 작동표시등 점등
화재표시
화재표시등 점등
화재표시등 점등
경보장치
경보장치 기동 출력
경보장치 기동출력
화재위치표시
지구표시등 점등
LCD창에 문자로 표시
기타
 
CRT모니터, 그래픽 표시반에 표시 (단 설치가 되어 있을 때)

 

 

6. R형 수신기의 점검방법

본 교재에서는 우리나라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S회사의 SRE 제품과 D회사의 D-MUX 3000 제품을 예를 들어 점검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고자 한다.

1) SRE 수신기

SRE 수신기는 화재발생위치 및 고장발생을 표시하는 디지털표시장치와 각종설비의 연동제어 및 시험을 위한 제어부로 구성되어 있다. 이 시스템은 분산형 중계기를 사용한 시스템으로서 하나의 경계구역에 하나의 중 계기가 구성되어 있어 중계기 번호가 회선번호라고 할 수 있다.

< Fig07. R형 수신기의 표시장치 및 제어부 >

 

□ 표시부

자동화재탐지설비와 관련된 표시등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Fig08. 표시부 >

 

※ 화재시

화재표시등(①)과 신호를 보낸 중계기나 어드래스형감지기 번호가 표시창(②)에 표시되며 , 해당 번호의 부가적인 설명이 메시지표시창(③)에 표시된다. 발신기가 작동했을 때는 발신기표시등이 추가 점등된다. 여러 개의 신호가 수신된 경우에는 OVER등이 점등되는 데 제어부에 있는 회로이동스위치를 누르면 순차적으로 표시가 된다.

 

※ 단선시

이 수신기는 자동단선감시기능이 있어 별도의 도통시험이 필요 없으며 단선이 되면 자동적으로 자탐장해표시등과 해당 중계기나 어드레스형감지기 번호가 표시창 (②)에 표시되며 , 해당 번호의 부가적인 설명이 메시지표시창(③)에 표시된다.

□ 제어부

자동화재탐지설비와 관련된 표시등과 스위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교류전원등, 스위치주의등, 전원이상등, 복구, 주음향정지, 지구음향정지, 예비전원시험스위치는 P형과 동일한 기능을 한다. 전화번호판처럼 보이는 TEN-KEY스위치는 회로의 선택 및 제어에 사용되는 스위치이다. 동작시험시 회로선택을 번호를 눌러 입력하고 단말발보스위치를 누르면 해당회로를 동작시험 할 수 있다.

< Fig09. 제어부 >

 

2) D-MUX 3000형

수신기는 화재발생지구 및 고장발생을 표시하는 디지털표시장치와 각 종설비의 연동제어 및 시험을 위한 제어부로 구성되어 있다. 이 시스템은 집합형 중계기로 구성되어 있어 한 중계기에 32입력/22출력 신호가 배정되어 있다. 그러므로 화재시나 단선시에 중계기번호와 회선번호가 표시된다.

< Fig10. D-MUX 3000형 >

 

□ 표시부

 

< Fig11. 표시부 >

 

□ 제어부

< Fig12. 제어부 >

반응형

공유하기

facebook twitter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