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공사 이야기

반응형

감전사고(Electric Shock) 예방대책 및 감전재해사례

 

 

 

1. 전기와 감전

1) 전기의 정의

· 전기 : 전기적 에너지의 줄임말

- 에너지(energy) : 일을 할 수 있는 능력

· 유익(有益) : 모터(회전력), 히터(熱, 열)

· 해(害) : 사고(감전, 전기화재)

· 용어

- 전류(Current) : 전자의 흐름(A)

- 전압(Voltage) : 전류흐름을 발생시키는 에너지(V)

- 저항(Resistance) : 전류의 흐름을 방해하는 요소(Ω)

 

2) 전기의 구분

· 정(靜)전기 : 정지(구속)된 미소(微小) 에너지

- 감전요인 아님, 점화원 역할, 일(Work)은 불가능

- 풀잎, 나뭇잎 끝에 매달린 이슬방울에 비교

- 건조기에 승용차 도어를 접촉할 때, 옷을 벗을 때와 이물(異物) 질간 마찰 시 발생(대전서열에 따라)

 

· 동(動)전기 : 연속적인 흐름이 있는 전기 에너지

- 직류 : 시간에 따라 방향/크기 일정-변화 무(無)

- 교류 : 시간에 따라 방향/크기 변화 (sin파)

· 내리는 비에 비교

· 축전지(건전지)-직류, 산업용/가정용 전기-교류

 

3) 전기의 흐름

 

4) 감전의 정의

인체의 일부 또는 전체에 전류가 흐를 때, 전기적 충격에 의해 인체 내에서 일어나는 생리적 현상(일명 전격이라고도 함, 발열, 근육수축 동반)

 

5) 감전의 영향

· 심실세동, 쇼크, 근육수축, 호흡정지

· 발열작용에 따른 체온상승, 화상, 조직파괴

· 피부화상, 피부괴사

· 실신, 추락(2차 재해)

 

 

6) 감전의 발생형태

· 노출 충전부의 접촉에 의한 감전 (직접접촉)

· 누전에 의한 감전 (간접접촉)

· 특별고압 충전전로 근접접근시 감전 (비접촉)

· 낙뢰로 인한 감전 (화염,화상)

 

 

 

2. 감전재해사례

1) 크레인 위 용접작업 중 감전

1-1) 재해개요

· 지상 2m 높이의 크레인 주행레일 및 구조물 위에서 크레인 지지용 보강 구조물 설치를 위한 용접작업 중 감전

 

1-2) 재해 발생원인

· 자동전격방지기 미설치

· 홀더 파손으로 절연불량

· 용접기 1, 2차측 접속단자 충전부에 절연조치 미실시

· 안전모 턱끈 미체결

반응형

 

2) 활선 작업등 교체 중 감전

2-1) 재해개요

· 섬유염색 작업장에서 래피드 염색기에 설치된 작업등 교체작업 중 감전

 

2-2) 재해 발생원인

· 전등 소켓의 충전부 노출

· 점등(활선)상태에서 전구교체 작업 실시로 인해 손으로 유입된 전류가 주변 금속(염색기)에 접촉된 또 다른 신체 일부로 흐르면서 통전경로 형성

· 전등 회로에 누전차단기 미설치

 

3) 휴대용 전동공구 작업 중 감전

3-1) 재해개요

· 비로 인해 옥외 작업장 바닥이젖어 있는 상태에서 가로등에 사용되는 스테인리스 재질의 지지대에 볼트구멍을 뚫기 위해 핸드 드릴로 천공작업을 하던 중 피복이 손상된 코드에서 누전으로 감전

 

3-2) 재해 발생원인

· 이중절연 구조의 전동공구 미사용

· 코드의 피복손상 여부 미확인

· 감전방지용 누전차단기 미설치

 

4) 누전상태의 조작반 점검 중 감전

4-1) 재해개요

· 배수펌프 조작반 내부에서 누전이 발생하였고, 지하 PIT로 내려가 점검하던 중 조작반에 접촉하여 감전/사망

 

4-2) 재해 발생원인

· 고장수리 시 정전작업 미실시

· 배수펌프 조작박스 설치 위치 부적절

· 금속제 외함 접지 등 감전방지조치 미실시

· 절연 보호장구 미사용

 

5) 수전설비 특별고압 접촉에 의한 감전

5-1) 재해개요

· 옥상 바닥 방수공사를 위해 고무호수로 물청소 작업 중, 수전용 변압기의 특별고압(22.9KV) 수전설비 주변에서 몸을 구부렸다가 일어서는 순간, 바닥으로부터 1.8m 높이에 부착된 컷아웃스위치(COS) 하부에 머리가 근접되어 감전/사망

 

5-2) 재해 발생원인

· 작업 전 안전교육 미실시

· 수전설비 주변 작업 시 정전작업 실시

· 감시인 미배치

 

 

3. 감전재해 예방대책

1) 교류 아크 용접기 작업 시 감전재해 예방대책

1-1) 재해 예방대책

· 다음의 장소에서 사용하는 교류 아크 용접기에는 자동전격방지기를 반드시 설치 사용

- 선박 또는 탱크 내부, 보일러 동체 등 대부분의 공간이 금속 등 도전성 물질이 쌓여 있어, 용접작업 시 신체의 일부분이 도전성 물질에 쉽게 접촉될 수 있는 장소

- 높이 2M이상 철골고소 작업장소

- 물 등 도전성이 높은 액체에 의한 습윤 장소

· 파손(절연 불량)된 용접봉 홀더는 절연이 양호한 홀더로 즉시 교체 사용

· 용접기 1, 2차측 케이블 접속단자의 충전부가 노출되지 않도록 절연조치

· 작업복, 안전모 등의 보호구 착용 철저

· 피부노출의 주변 금속 접촉 금지(신체절연)

· 용접기 외함 접지

 

1-2) 교류 아크 용접기 점검 시 착안사항

· 용접중단 시 2차 무부하 전압이 30V이하 유지 여부를 테스터로 측정하여 전격방지기 성능을 확인

· 전격방지기 시동감도(용접봉과 피용접물 간의 저항치)가 500Ω이하에서 동작하는지 확인

· 전격방지기 결선 후, 녹색 등이 점등되어야 2차 무부하 전압이 30V이하로 낮춰진 상태임을 확인(녹색등이 점등되지 않으면 잘못 결선된 것임)

· 용접기 2차 부하 전류값을 감안하여 전격방지기 형식을 선정(용접기 2차 부하전류 300A이하: SP-3B, 500A이하: SP-5B)

· 용접봉 홀더 선택은 용접기 2차 부하 전류값에 따라 적정한 종류(100호∼500호)를 선택 사용(KS 규격에 따르며 300A는 300호, 500A는 500호)

· 교류 아크용접기 본체 외함 접지 실시 여부를 확인하고, 주기적인 접지저항 측정

 

2) 활선 전등 및 작업등 교체 시

2-1) 재해 예방대책

· 작업등 전선 인입부의 고무패킹 및 배선의 손상여부를 전원투입 전에 확인

· 전등 교체 시에는 먼저 전원을 차단 후 교체하고, 교환 후 전원을 투입하는 등 안전한 작업방법 준수

· 전등 및 전열(콘센트)회로와 같은 임시배선 전로의 전원 측에는 감전방지용 누전차단기를 설치

· 공중 매달기식 작업등은 전구 파손방지를 위해 전구 보호망 설치

· 전기설비의 수리, 접근 : 정전작업

※ 정전작업 곤란한 경우

- 접근한계거리 유지

- 활선작업용구 사용

- 절연보호장구, 방호구, 활선작업차량 사용

- 다관절 로봇(Manipulator) 사용

 

· 전기설비, 선로의 누전 : 모터 케이싱과 기기 외함 접지

- 이동식 전기설비 : 누전차단기 설치(접지선 접속이 쉽지 않은 경우) / 고감도형(30mA, 0.03 sec) 설치

- 이중절연 구조의 전기기구 사용

 

2-2) 작업등(전등) 교체 및 사용 시 착안사항

· 작업등은 접지선이 포함된 3심 케이블을 사용하여 등기구 철제 외함 접지 실시

· 전원 투입 시 누전차단기의 시험버튼을 조작하여 정상 작동여부 확인

· 작업등 전선 인입구의 전선피복 손상방지를 위한 고무절연패킹의 탈착 여부 확인

· 조명회로 배선은 연결부위에 장력이 집중되고 피복손상으로 충전부가 노출되지 않도록 유의하여 설치

 

3) 휴대용 전동공구 작업 시 감전재해 예방대책

3-1) 재해 예방대책

· 다음의 장소에서 휴대용 전동공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전원측에 감전방지용 누전차단기를 설치 사용

- 물 등 도전성이 높은 액체에 의한 습윤장소(옥외, 지하실 등)

- 철판, 철골 위 등 도전성이 높은 장소(탱크나 선박의 내부)

· 위의 조치가 곤란한 경우, 접지극 있는 콘센트 및 플러그를 사용하여 금속제 외함을 접지

· 사용 전 또는 정기적으로 금속제 외함과 각 선간의 절연저항을측정하여 대지전압 150V이상 300V이하에서 0.2㏁이상을 유지

· 휴대용 전동공구를 사용 시에는 반드시 이중절연구조의 제품을 사용하여 절연손상으로 인한 감전재해 예방

 

3-2) 휴대용 전동공구 사용 및 점검 시 착안사항

· 휴대용 전동공구는 반드시 접지가 된 상태로 사용하고, 콘센트 전원측에는 누전차단기가 설치되어 있어야 함

· 여름철에는 땀이나 물기로 인해 인체저항이 떨어져 감전위험이 높으므로 냉방설비가 갖춰져 있지 않는 옥내작업장, 침수 또는 수분침투가 용이한 지하실 등의 작업장소에서 사용하는 전동공구는 접지와 감전방지용 누전차단기를 병용 설치 사용

· 누전차단기의 시험버튼이 청색제품은 누전방지 전용으로 과부하 시에는 작동하지 아니하며, 적색제품은 과부하와 누전 시 모두 작동함

· 누전차단기 시험버튼은 정격감도전류 이상에서 동작하도록 설계되어 있으므로 작업 시작 전에 정상작동여부를 반드시 수동 조작하여 확인

· 휴대용 전동공구에 사용하는 누전차단기는 감전방지용 고감도 누전차단기(정격감도전류 30㎃, 동작시간 0.03초)이어야 함

· 케이싱이 금속(알루미늄)인 제품 사용을 자제하고, 이중절연구조 제품사용

 

4) 배/분전반 조작 시 감전재해 예방대책

4-1) 재해 예방대책

· 배 · 분전반/조작반의 충전부에 접촉을 방지하기 위한 절연덮개(투명아크릴 판 등)을 설치

· 배 · 분전반/조작반에는 분기차단기별 회로명 기입으로 오조작으로 인한 감전재해 예방

· 차단기의 1, 2차 케이블 접속단자가 노출되지 않도록 절연 캡을 사용하여 보호조치

· 고장수리 시, 전원차단 조치 및 배 · 분전반/조작반에 잠금장치활용 및 꼬리표를 사용하여 작업사항 기재

· 노출 충전부에 대한 절연 및 방호조치

· 물기가 많은 곳에서 전기취급 금지

· 절연상태 관리 철저

 

4-2) 배 · 분전반/조작반의 점검 시 착안사항

· 배 · 분전반/조작반은 외부 도어 개방 시 자동으로 불이 켜지도록 조명등이 설치되어야 하고, 리미트 스위치와 램프(또는 백열등)의 정상상태 유지여부 확인

· 내부에는 투명 아크릴판으로 노출충전부위 방호조치

· 전기설비 점검, 보수작업 시 충전부 접촉에 의한 인체 통전경로 형성 방지를 절연보호구를 사용하고,

· 관계자 외 조작 및 취급을 방지하기 위해 배 · 분전반에 잠금장치 활용, 위험표지 부착

 

 

5) 수전설비 특별고압 작업 시 감전재해 예방대책

5-1) 재해 예방대책

· 특별고압 (22.9KV)의 수전설비에는 충전전로와 충분한 거리를(수평과 수직거리 합 5m 이상) 확보할 수 있는 출입문 또는 울타리 설치하고 유자격자 이외 출입금지

· 울타리 각 방향에는 대형 안전표지(고압, 접근금지 등) 부착

· 특별고압 (22.9KV) 충전전로와 근접 장소에서 작업 시, 정전작업을 하거나 절연 방호구 설치 또는 접근한계거리(30㎝ 이상) 유지

· 작업 중에는 감시인 배치

반응형

공유하기

facebook twitter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