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공사 이야기

반응형

동력설비 - 급수펌프/급수용 동력(종류/급수방식)

 

1. 급수의 종류

수돗물, 우물물로 구분할 수 있다.

 

2. 급수방식

2-1. 수도 직결식

수도의 압력이 충분한 경우에 적용되며 보통 2층이하의 건물에 적용이 가능하다.

 

2-2. 고가수조식

· 지하 저수탱크에 물을 저장하고 양수펌프로 옥상에 설치한 물탱크로 올려서 자연 압력을 이용하여 각 층으로 물을 공급하는 방식.

· 고가수조까지의 양수는 탱크내에 설치된 플로트 센서를 이용하여 수조내의 수면 변동을 감지하여 양수펌프용 전동기를 자동운전한다.

· 깊은 우물의 경우에는 우물용 펌프로 지하 저수탱크로 물을 저장한 후 다시 양수펌프로 옥상 물탱크까지 물을 올린다.

· 얕은 우물의 경우 우물용 펌프로 직접 옥상 물탱크까지 물을 올린다.

 

2-3. 압력수조식

· 고가수조 대신 압력수조로 급수하는 방식으로 규모가 작은 곳에 적용.

· 밀폐탱크 속에 물을 펌프로 압입하면 탱크내의 공기가 압축 되면서 물에 압력이 걸려 있는 곳까지 공급할 수 있다.

물이 공급되어 탱크 내의 압력이 내려가면 다시 압력 스위치가 동작하여 펌프가 가동되어 일정압력을 유지하고 압력이 일정치 이상 올라가면 펌프가 정지된다.

 

2-4. 직송 급수방식( Tankless방식)

· 고가수조 설치 없이 급수관에 일정한 급수압을 가하여 필요한 급수를 행하는 방식으로 압력의 유지는 펌프의 회전수 제어로서 유지하며, 유럽 등지의 호텔 등 많은 건물에서 채용된다.

· 제어방식

펌프 회전수제어(펌프 양정 ∝N², 축동력∝N³)를 이용하므로 경제적 운전이 된다.

· 근래에는 Thyristor를 이용한 주파수 변환장치를 사용함으로써 범용 유도전동기를 사용한 속도제어가 채용되어지고 있다.

· 정전시 단수의 예방을 위해 예비전원을 반드시 확보하여야 한다.

 

3. 전동기 용량의 선정

양수펌프에 사용되는 전동기의 용량은

· P : 펌프용전동기의 소요출력 [KW]

· H : 총양정(m)

· Q : 양수량 (㎥/min)

· η : 펌프의 효율

· k : 여유율(여유계수 0.1~0.2)

 

반응형

공유하기

facebook twitter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