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농형유도전동기의 개요
산업계에서 전동기에 대한 요구는 다양하다. 산업계의 수 많은 적용 분야에서 여러 가지의 기동방식과 운전방식이 필요하며, 이에 따라 제작사들은 농형유도전동기에 대한 여러 형태로 확립된 표준설계의 형식이 사용된다.
그림은 가장 공통적인 토크-속도 특성을 보여주고 있다. 이것은 NEMA( National Electrical Menufacturer's Association)에 의해서 확립된 기준에 따라 이미 사용되고 있으며 가장 표준화된 것이다. 이러한 농형 전동기의 설계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회전자 회로의 실효저항이다.
2. 농형유도전동기 등급의 종류
1) A등급 농형전동기
A등급 농형유도전동기는 기동 토크가 정상적이며, 기동 전류가 크며, 운전시 슬립은 작다, 전동기의 회전자 회로의 저항은 작으며, 따라서 전부하를 걸었을 떄 작은 슬립(0.05<s<0.015)에서 효과적으로 운전한다. 이러한 형태의 농형전동기는 기동시의 부하토크가 작은 분야(즉 팬 또는 펌프분야)에 적용하는 것이 적당하다. 왜냐하면 부하토크가 작을 경우 기동시부터 재빨리 전속도까지 도달시킬 수 있으며, 이럴 경우 기동시 발생하는 과열 문제를 제거할 수 있다. 대형의 전동기에서는 기동전류를 줄이기 위해 기동시의 공급전압을 줄일 필요가 있다.
2) B등급 농형전동기
B등급 농형전동기는 기동토크가 정상적이며, 기동전류가 작고, 운전슬립은 작다. 기동토크는 A등급 농형전동기와 거의 같으나 기동전류는 A등급에 비해 약 75%의 크기를 갖는다. 심구형 회전자 또는 이중 농형 회전자를 이용하여 누설 리액턴스를 크게 만들 수 있으며 따라서 기동전류는 감소된다. 큰 누설 리액턴스는 최대 토크를 감소시킬 수 있다. 전부하시 슬립 및 효율은 A등급 농형 전동기의 그것과 거의 비슷한 값을 가진다.
이러한 등급의 놓형전동기는 일반적인 목적의 전동기이며 산업계의 여러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또한, 큰 기동토크가 필요하지 않은 일정 속도의 구동장치에 적당하다. 적용 예로서 팬,펌프,송풍기와 전동기-발전기 세트 등이 있다.
3) C등급 농형전동기
C등급 농형전동기는 기동토크가 크며 기동전류는 작다. B등급 농형전동기보다 더 큰 회전자 회로저항을 가진 농형회전자가 사용된다. 전부하에서 슬립은 A등급 또는 B등급 전동기보다 약간 크며 효울은 작다, 이러한 종류의 전동기는 압축기 컨베이어, 분쇄기 등의 구동장치에 적용하는 것이 적당하다.
4) D등급 농형전동기
D등급 농형전동기는 기동토크가 크며, 기동전류는 작고 운전시 슬립은 크다, 농형 회전자의 봉은 구리대신 저항이 큰 황동(Brass)과 같은 재질롤 만든다. 토크 속도 특성은 권선 회전자형 전동기의 회전자 회로에 약간의 회부저항을 연결했을 때 나타나는 그것과 비슷하다. 최대토크는 슬립이 0.5 또는 그 이상일 때 발생한다. 전부하시 운전슬립은 크며(0.08~0.15), 따라서 운전시에 나타나는 효율은 낮다. 회전자 회로에서 큰 손실이 발생하므로 주어진 부하를 제어하려면 큰 용량의 전동기가 필요하다. 이러한 종류의 농형 전동기는 구멍을 뚫는 펀치프레스, 전단기와 같이 빨리 가속해야 하거나 큰 충격이 필요한 간헐적인 부하를 구동하는 장치에 적당하다, 충격 부하가 시스템에 걸릴 경우 플라이휠이 충격을 감소하는데 적당하다. 충격부하로 전동기 속도가 갑자기 떨어지때 충격 기간 동안 전동기의 운동에너지의 일부가 플라이휠에 전달된다.
동력설비 - 공조용 동력(냉동기/공조설비 등) (0) | 2021.12.02 |
---|---|
동력설비 - 권선형 유도전동기(구조와 원리/용도) (0) | 2021.12.01 |
동력설비 - 유도기의 3가지 동작모드 (0) | 2021.11.29 |
동력설비 - 유도전동기의 속도제어 (0) | 2021.11.26 |
동력설비 - 삼상 농형 유도전동기(구조및원리 / 종류 / 특성) (0) | 2021.11.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