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공사 이야기

반응형

IPTV(인터넷TV)란 무엇인가?

 

 

IPTV(인터넷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 인터넷 망을 통한 양방향 텔레비전 서비스전파대신 인터넷으로 보는 TV

요즘 통신 서비스의 화두는 ‘올IP’다. 기존 우리가 쓰던 서비스들을 인터넷 위에서 돌아가도록 바꾸는 것이다. 이미 많은 부분이 바뀌고 있다. 070으로 구분해서 쓰던 인터넷전화는 대중화됐고 음악도 인터넷으로 유통 · 소비된다. TV라고 예외는 아니다. 흔히 케이블TV로 부르던 방송 형태가 인터넷으로 대체되고 있다. IPTV, 말 그대로 인터넷 프로토콜 TV다.

IPTV를 한마디로 설명하면 인터넷으로 실시간 방송과 VOD를 볼 수 있는 서비스를 말한다. 국내에는 SK의 ‘BTV’, KT의 ‘올레TV(쿡TV)’, LG의 ‘U+ tv G’등 세 가지 IPTV가 서비스된다. TV에 직접 적용되는 제품도 있지만 대체로 셋톱박스 형태로 TV와 연결한다. 기존에도 주문형 비디오 서비스는 있었지만, 채널 기반의 방송은 2007년 IPTV와 함께 시작됐다. 기술적으로 보면, 원하는 방송 채널을 고르면 그 화면을 스트리밍으로 전송해주는 방식이다. 하지만 여러 방송사들의 콘텐츠를 인터넷으로 실시간 전송하는 플랫폼이 만들어졌다는 것이 당시 IPTV의 큰 의미였다.

 

IPTV, 왜 통신사가 서비스하나

IPTV는 제공하는 영상 콘텐츠들을 HDTV에 뿌려주어야 하기 때문에 높은 해상도1)를 내야 한다. 자연스럽게 동영상의 용량이 커지고, 인터넷 속도와 서비스 품질이 직결된다. 그러고 보니 IPTV 서비스는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가 하고 있다. 왜 방송 서비스를 통신사가 하는 것일까.

IPTV는 막대한 양의 데이터 트래픽을 일으키기 때문에 품질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든든한 인터넷 망이 필요하다. 이 때문에 대부분의 IPTV 서비스는 전체 인터넷 망에서 IPTV에 대해 높은 우선권을 준다. 하지만 데이터 트래픽을 일으킨다는 이유로 각 인터넷 업체들은 각자의 IPTV 전용망을 구축하고 타 사업자의 IPTV는 허용하지 않거나 품질을 보증하지 않는다. 망 중립성을 훼손하는 것이라는 논란이 있지만 사실상 통신사들이 가정용 유선인터넷, 휴대폰, 인터넷전화 등과 IPTV를 세트로 묶어서 제공하고 이용자들도 결합할인 제도에 익숙해져 있다.

IPTV에서는 같은 야구 중계에 여러 개의 음성 해설을 골라볼 수 있도록 하거나 쇼핑몰에서 관련 상품 구매로 직접 연결하는 등 방송 콘텐츠와 인터넷의 강점을 더하는 서비스들이 나오고 있다. (사진 : KT)

초기 IPTV업체들은 대체로 6~7Mbps 정도의 속도로 영상을 스트리밍해 왔다. 자연스럽게 화질이 동영상 용량과 직결된다. 영상은 화질에 비해 압축률이 높은 H.264 코덱을 이용해 보낸다. 일반 HDTV로 전송되는 지상파 방송은 MPEG2 코덱으로 압축하고 13~17Mbps로 전송하기 때문에 화질이 더 좋았다. 하지만 최근 IPTV 업체들은 이 동영상 전송률을 높여 화질을 끌어올리려 노력하고 있다. 2013년 4월 현재 KT와 LG유플러스는 실시간 방송을 10Mbps 수준으로 끌어올렸고, 다시보기나 주문형 비디오(VOD) 서비스도 15~20Mbps까지 전송속도를 높이고 있다.

 

IPTV와 디지털케이블TV, 비슷한 듯 다르네

IPTV의 강점은 실시간 방송 뿐 아니라 인터넷을 통한 주문형 비디오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흔히 ‘다시 보기’로 부르는 서비스로 TV 방송을 원하는 시간에 볼 수 있고, 영화나 다큐멘터리 등 여러 동영상 콘텐츠도 공급된다. 요즘은 영화도 극장 다음으로 IPTV 채널에 최우선 순위를 둘 정도로 영상을 유통하는 중요한 채널로 자리잡고 있다.

실시간 방송, TV다시보기, 영화 VOD 등을 볼 수 있는 서비스는 디지털 케이블TV도 제공한다. 하지만 전송 방식 차이 때문에 다른 서비스로 분류된다. (사진:LG유플러스)

그런데 요즘 케이블TV도 디지털 방식으로 바뀌면서 비슷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실시간으로 지상파와 케이블 방송을 디지털로 전송하고 방송 다시보기, 영화 VOD 등 기존 IPTV와 똑같이 쓸 수 있다. 이것도 IPTV의 일종일까?

IPTV와 디지털 케이블TV는 전혀 다른 서비스다. 시청자 입장에서는 케이블 사업자들이 서비스하는 디지털 케이블TV와 IPTV는 똑같아 보인다. 서비스가 데이터 기반의 디지털로 이뤄지는 것도 같다. 하지만 전송 방식에 근본적인 차이가 있다 케이블TV는 케이블망을 이용하고 IPTV는 직접 인터넷 망에 연결된다.

이 때문에 법도 다르게 적용받는다. 케이블TV는 지상파와 마찬가지로 방송법의 영역에 들어가지만, IPTV는 별도의 IPTV법(인터넷 멀티미디어 방송사업법)을 적용받는다. 법이 보기에 디지털 케이블TV는 방송의 형태를 가졌고 IPTV는 인터넷 서비스라는 해석이다. 그래서 VOD로 똑같은 콘텐츠를 전송하는 과정에서도 IPTV는 내용의 심의를 받지 않고 디지털 케이블TV는 방송심의를 받아야 한다.

그럼 인터넷을 통해 스마트폰에서 실시간 방송과 다시보기, VOD를 재생하는 모바일 방송 서비스는 IPTV일까? 답은 ‘아니다’. CJ헬로비전의 티빙(Tving)이나 콘텐츠연합플랫폼 PooQ, 그리고 IPTV를 서비스하는 통신 3사의 모바일 IPTV 모두 실제는 IPTV의 범주에 들어가지 않는다. 인터넷을 이용하긴 하지만 N스크린, 혹은 모바일 TV로 분류된다. 법적으로는 부가통신사업으로 분류되고 관련법도 없어서 아직까지는 특별한 규제도 없다.

 

핵심은 스마트와 유 · 무선 통합

하지만 모바일 IPTV는 각 IPTV 사업과 긴밀하게 연결, 통합되고 있다. 여러 개의 화면을 묶어 서비스하는 N스크린의 핵심 요소다. 게다가 안드로이드나 리눅스 등 컴퓨터 수준의 운영체제가 결합되고 하드웨어 성능도 좋아지면서 IPTV는 큰 분류로서의 ‘스마트TV’에 근접하고 있다. 어떤 TV에든 연결하는 것으로 인터넷 기반의 다양한 서비스와 결합되기 때문이다. 한편으로는 고가의 스마트TV보다 더 저렴하고 지속적으로 이용 가능한 현실적인 서비스로 꼽히고 있다.

스마트폰도 IPTV의 연결고리로 보는 시각이 많다. IPTV 서비스 업체들도 TV와 스마트폰, 태블릿 사이의 경계를 없애기 위한 서비스들을 계속해서 꺼내놓고 통합을 이끈다. (사진:SK텔레콤)

퇴근길에 LTE 스마트폰으로 보던 VOD를 집에 도착해 거실 TV 셋톱박스에 NFC로 접촉하면 보던 장면부터 TV로 재생된다. 가족이 다른 방송을 보고 싶어한다면 다시 보던 프로그램을 노트북이나 태블릿으로 넘겨 방에서 이어본다. TV 리모컨으로 영화 속 장소를 검색하고 드라마 주인공이 입은 옷을 인터넷 쇼핑몰에서 구입한다.

이게 바로 요즘 IPTV 업체들이 주력하는 N스크린의 통합 서비스다. 이는 IPTV 뿐 아니라 디지털 케이블 서비스도 비슷하다. 2008년 처음 IPTV가 등장할 때만 해도 인터넷으로 채널 기반의 TV 서비스가 이뤄진다는 것 자체가 신기했지만 불과 5~6년 만에 TV를 넘어 스마트폰까지 인터넷에 연결된 환경 안에서 TV는 빼놓을 수 없는 핵심 서비스가 됐다.

 

 

 

 

 

반응형

공유하기

facebook twitter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