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공사 이야기

반응형

방송용 조명의 개요 / 방송 조명

 

 

1. 방송 조명의 개요

조명은 영상을 촬영하기 위하여 피사체에 빛을 주거나 조절하는 행위로 TV, 영화, 사진 등은 빛을 영상으로 변환시켜 상(image)을 만들어 낸다. 빛은 단순히 사물을 식별하게 해 주는 역할에만 그치지 않고 영상의 분위기를 만들어 주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빛(광원)은 태양, 가로등, 백열전구, 형광등, 수은등, 나트륨등, 자동차의 헤드 라이트, 네온 사인 등 다양하다. 모든 광원이 만들어 내는 빛의 색깔이 다르므로 카메라맨은 빛을 이해하고 적절히 사용할 줄 알아야 한다.

 

 

2. 조명의 이론

1) 조명의 기초

① 색온도

색온도(color temperature)는 빛의 색을 나타내는 방법으로 흰 광선이 상대적으로 푸른빛을 띠는지 붉은빛을 띠는지 측정하는 기준치를 말한다. 실상 백열등 아래에서 보는 사과의 붉은빛과 형광등 아래에서 보는 사과의 붉은빛은 차이가 있다. 이것은 광원의 색이 다르기 때문이다.

이 광원의 색을 나타내는 것을 색온도라고 하고, 단위는 캘빈(Kelvin degree)으로 표시한다. 일반적으로 색온도가 높으면 광원의 색은 푸른빛이 증가하고 낮으면 붉은빛이 증가한다. 휴대용 실내 조명 기구는 3,200 K이고 야외 조명 기구는 5,600 K 정도이고 대낮의 태양광은 5,500 K 정도이다.

 

< 표01. 여러 가지 광원의 색온도 >

광원의 종류
색온도
태양광
맑은 날 정오: 약 5000~ 6200 K
흐린 날: 약 7000~ 8000 K
HMI 램프
약 5500~ 6000 K
가정용 텅스텐 전구
약 3000 K
조명용 할로겐 램프
약 3200 K
형광등 - 텅스텐 타입
약 3200 K
형광등 백색
약 4200 K
형광등 주간 백색
약 5000 K
형광등 일 광색
약 6500 K
제논등
약 6000 K
나트륨등
약 2100 K

 

② 연색성

연색성(color rendering)은 조명이 물체의 색감에 영향을 끼치는 현상으로 색 스펙트럼의 속성에 따라 물체 색이 어떻게 재현되는가 하는 것을 의미한다. 형광등이나 방전등에는 빛 중에 포함되어 있는 성분(분광 에너지)이 특정 부분만 강한 경우가 있는데 이렇게 한 가지 빛을 사용하면 색 재현이 나쁘게 된다. 고속도로의 터널 중에 빨간 계통의 색이 없어져서 회색으로만 보이는 경우가 있다. 또한 생선이나 식료품의 선도가 떨어져 보이지 않도록 조명으로 백열등을 많이 쓰는데 이처럼 조명 등에 의하여 물체를 보는 방법에 영향을 끼치는 성질을 연색성이라고 한다. 텔레비전 카메라에 의한 색 재현은 광원의 연색성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라이팅에 한하여 광원의 특징을 파악하고 연색성이 좋은 광원이 요구된다.

 

③ 광속

광속(radiant flux)의 기호는 F로 광원에서 방사하는 에너지의 흐름중에서 눈에 보이는 빛의 흐름이다. 단위 면적을 단위 시간 내에 통과하는 빛의 에너지를 표준 관측자의 시각으로 측정한 양을 말하며 조명등의 밝기를 나타내는 척도가 되고 단위는 루멘(lumen: lm)이다.

 

< 표02. 각종 광원의 광속 예 >

광원
광속(lm)
태양
4.3 x 1028
8 x 1016
백열 전구
1,520
형광등 40[W]
3,000
형광등 11[W]
8,700
수은등 400[W]
21,000

 

④ 광도

광원이 가지고 있는 빛의 세기를 광도(I: luminous intensity)라고 한다. 점광원에서는 모든 방향으로 광속이 방사되고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그 광속이 모아지는 정도, 즉 광속 밀도는 방향에 따라 일정하지 않다. 따라서 광도를 그 광속 밀도의 크기로 표시할 수 있으며 단위는 칸델라(cd: candela)이다.

 

⑤ 조도

반응형

조도(illuminance)란 어떤 면이 받는 빛의 세기를 그 면적에 비치는 광속으로 나타낸 양이다. 조도의 단위는 럭스(lux, 약어 lx)를 사용한다. 조도의 크기는 E(lux)=F(lm)/S(㎡) 으로 나타내며, 1평방 미터에 1루멘의 광속이 입사했을 때 1럭스( lux)라 한다.

 

⑥ 휘도

휘도(brightness)는 피사체에서 반사되어 눈에 들어오는 광의 밝기정도를 수량으로 나타낸 것으로 관측자가 본 물체의 겉보기의 단위 면적당 광의 정도로 나타낸다. 기호를 Lv, 단위를 (cd/㎡) 또는 니트(nit. 기호는 nt)로 표시한다.

 

⑦ 콘트라스트

콘트라스트(contrast)는 영상의 가장 밝은 부분과 가장 어두운 부분사이의 명암의 차이를 말한다. 카메라에서 해결 가능한 명암의 비는 40: 1 정도이다. 가장 밝은 부분의 조명과 가장 어두운 부분의 명암 차가 40배를 넘게 되면 가장 어두운 부분은 노출이 부족하여 어두운 부분의 미세한 명암의 차이는 똑같이 검은색으로 나타나며 가장 밝은 부분은 노출 과다가 되고 만다.

 

2) 조명 기술의 목적

조명 기술의 목적은 카메라가 잘 볼 수 있도록 충분한 빛을 공급하며 하이라이트와 그림자 사이의 지나친 대비를 완화하고 색깔이 왜곡되게 나타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광선의 질은 사용되는 광원의 특성에 의하여 결정된다. 광선이 발생하는 면적이 작을수록 강한 광선을 주는 조명의 경우는 키 라이트(key light)에 이용하며 광이 방출되는 면적이 전체적으로 넓어서 비교적 부드러운 광선을 주는 형태도 있으므로 빛의 밝기와 조명 방법, 광원의 종류가 조명 기술의 목적이 된다.

① 피사체의 감광에 필요한 적당한 광량을 제공

이미지의 명확한 표현을 위해서는 반드시 적당한 양의 빛이 필요하다. 특히 태양광선이 없는 밤 장면에서는 인공의 조명 기기(light)를 사용하여 적당한 양의 감광을 위한 빛을 제공하여 주어야 한다.

 

② 이미지의 전체적인 분위기를 조절하기 위한 각 장면(scene)의 톤 제어 드라마든 영화든 어떤 장면의 분위기를 표현하는 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이 조명이다. 이미지의 전체적인 분위기 묘사는 조명에 의하여 완성된다.

 

③ 명료하고 다양한 느낌의 상황을 연출

화면 내에서 특정한 피사체로 시선을 유도하여 이야기하고자 하는 바를 명료하게 표현한다. 또한 조명은 똑같은 상황과 피사체일지라도 어떻게 빛을 비추는가와 어떤 종류의 빛을 비추는가에 따라 다양한 느낌으로 상황을 변화시킬 수 있게 한다.

 

3) 광원의 종류

3-1) 태양광

태양광(day light)에 의한 광선은 촬영에서 조명의 기본이 되는 광원이다. 태양광은 여타의 광원에서는 볼 수 없는 다양한 특성을 가진다. 구름 한 점 없이 맑은 날에는 강한 직진성을 가지고 강한 빛과 뚜렷한 그림자를 만들어 낸다. 또한 맑은 날에는 색온도가 5,600K 내외의 백색광의 특성을 가진다. 태양광은 단일한 광원이지만 시시각각 변화하는 다양한 속성을 가지는 복잡한 광원이기 때문에 태양광의 특성을 이해하고, 이를 적절하게 활용하는 것은 조명의 기본이라 할 수 있다.

 

3-2) 인공광

인공광은 열 방출에 의해 빛을 내는 방식과 가스 방출에 의하여 빛을 내는 방식이 있다. 열 방출에 의한 광원에는 텅스텐광과 텅스텐 할로겐 램프가 있으며, 가스의 방출에 의한 광원은 형광 램프, 제논 램프, HMI 램프, CSI 램프 등 다양한 인공광이 있다.

① 텅스텐 광

텅스텐 광(tungsten lamp)에는 표준 백열 램프와 텅스텐 할로겐 램프가 있다. 표준 백열 램프(incandescent lamp)는 공기를 뺀 유리구 안에 텅스텐으로 만든 필라멘트를 넣어 음극과 양극을 연결시키면 저항이 높은 텅스텐에서 전기가 열로 바뀌면서 빛을 내는 램프로 빛의 효율이 낮고 색온도는 2,900K 정도이다. 표준 백열 램프의 단점을 보완한 텅스텐 할로겐 램프는 표준 백열 램프에 비하여 고효율의 빛(약 20 lm/W)을 내고 램프의 수명도 4,000시간에 달할 만큼 길며 3,200K의 일정한 색온도를 만들며 TV, 영화 촬영 시에 사용한다.

 

② 고압 방전 램프

고압 방전 램프(HMI: Hydrargyrum Medium-arc Iodide lamp)는 아크 방전 원리를 이용하여 작동하는 방식의 램프로 카본 아크 램프와 제논 아크 램프, HMI 램프가 있다.

 

③ 형광 램프

형광 램프(fluorescence lamp)는 냉광원으로 열이 적고 효율이 높으며 빛이 부드럽고 수명이 길다. 스튜디오용으로는 색온도를 백열전구에 맞춘 3,200 K인 것이 사용되고 있으나 바깥의 빛이 들어가는 보도 스튜디오에서는 주광색의 형광 램프가 사용되고 있다.

 

④ LED 램프

LED(Light Emitting Diode)는 발광 다이오드라는 것으로 소형이고 수명이 길며 전력 소모가 적고 효율이 좋다. 현재 광원 중에서 가장 앞선 광원이다.

 

4) 광원의 성질

4-1) 하드 라이트와 소프트 라이트

맑은 날의 직사광선을 하드 라이트(직광)라고 한다. 하드 라이트의 속성을 가진 램프는 강한 방향성을 만들어 낸다. 반면 흐린 날의 분산 광선이 가지는 빛의 성질을 소프트 라이트(분산광)라고 하는데 빛의 방향성이 약화된 상태라 피사체에 닿는 빛의 질감이 부드러우며 이때 만들어지는 그림자는 직광에 비하여 경계선이 완만하고 농도 또한 상대적으로 연하게 된다.

< Fig01. 소프트 라이트와 하드 라이트 >

 

4-2) 수평선상에서의 각도

① 정면광(순광)

순광(frontal light)은 카메라와 같은 방향에서 비추는 빛이다. 카메라 와 피사체(인물)를 잇는 선을 생각할 때 인물을 원점으로 하여 좌우(수평각)로 각각 45˚의 범위 내에서 비추는 빛을 순광이라고 한다.

 

② 측면광

측면광(side light)은 인물의 입체감을 강조하기 위하여 옆으로 비추는 빛이다. 카메라와 인물을 잇는 각도에 90˚를 이루는 방향에서 비추는 조명이며 순광에 비하여 딱딱한 느낌을 주지만 피사체의 윤곽과 구성을 강조하여 준다.

 

③ 반측면광

반측면광(frontal three quarter light)은 렌즈축을 기준으로 1시~2시 방향, 수평각으로 30~45˚정도의 범위를 말한다. 피사체가 인물인 경우에 평면광에 비하여 좀 더 많은 그림자를 만들므로 입체감을 살릴 수 있는 각도이다.

 

④ 후면측광

후면측광(kicker light)은 렌즈 축을 기준으로 5시 또는 7시 정도의 방향, 수평각으로좌우 75˘ 안팎의범위에서피사체를비추는광선을말한다.

 

⑤ 역광

역광(back light)은목표물의 뒤쪽에서 비추는 광원으로 조명으로 비추면 배경으로부터 목표를 분리하여 낼 수 있다. 인물의 등이나 머리카락을 비추어 피사체의 윤곽을 떠올리는 실루엣 효과로 인상적인 분위기를 만들므로 입체감을 강조하며 신비함, 엄숙함, 환상적인 분위기를 연출한다.

< Fig02. 수평적인 조명의 각도와 명칭 >

 

4-3) 수직선상에서의 각도

라이트가 피사체를 비추는 높이에 대한 수직선상의 구분은 수평선상에서의 구분과 마찬가지로 그것이 만들어 내는 그림자의 방향을 크게 좌우한다.

< Fig03. 수직적인 조명의 각도 >

반응형

공유하기

facebook twitter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