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사교육자료/통신 - 공사교육

방송 제작 인력 및 방송 제작 시스템의 구성

D.N.A 2025. 4. 25. 07:00
반응형

방송 제작 인력 및 방송 제작 시스템의 구성

 

 

1. 방송 제작 시스템의 구성

방송국 구성 설비는 크게 프로그램 제작 설비와 프로그램 운행 설비, 이들의 기능을 지원하는 설비로 구성된다. 방송 프로그램 제작 형태에는 스튜디오를 사용하여 제작하는 프로그램과 옥외에서 제작하는 프로그램, 옥외 소재를 기초로 하여 스튜디오에서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뉴스보도 프로그램 등으로 나누어진다.

< Fig01. 프로그램 제작 설비의 개요 >

 

1) 스튜디오

스튜디오(studio)는 플로어와 부조정실로 구분된다. 플로어에는 카메라, 음성 마이크로폰, 조명 장치가 있고 부조정실은 영상 설비, 조명 장치, 음성 설비로 구성되어 있다. 스튜디오 시스템의 기능은 보도, 스포츠, 오락, 교양 등 각종 프로그램을 제작하여 방송하는 것으로 출연자, 출연 담당자, 기술 담당자, 디자이너 등이 각각 전문 분야에서 고도의 기능을 발휘하도록 분업화되어 있다. 대부분의 스튜디오는 바닥 공간이 직사각형의 형태를 띠고 있다. 스튜디오가 클수록 보다 복잡한 형태의 제작을 할 수 있으며, 제작의 유연성도 증대한다. 스튜디오의 바닥은 카메라가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평평하고 평형을 유지하여야 하며, 무거운 장비나 무대 소품 등을 지탱할 수 있도록 견고하여야 한다. 스튜디오 설계시 최소 3.6 m 이상의 천장 공간을 두어야 조명 효과를 살릴 수 있다. 이 밖에도 방음을 위한 설비나 공기 조절을 위한 설비들이 고려되어야 한다.

< Fig02. TV 스튜디오 건축 설비 >

 

1-1) 영상 설비

스튜디오에는 영상 설비로 카메라가 3~7대가 준비되어 있다. 이 중 1~2대는 핸디 카메라 또는 크레인 카메라로 사용된다. 각 카메라의 조리개 등 구체적인 조작은 부조정실의 제어부(CCU) 등에서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1-2) 음향 설비

음향 설비는 카메라와 공존하기 때문에 마이크로폰 배치에 제약이 많다. 마이크로폰은 화면에 나오지 않게 하기 위하여 초지향성 마이크로폰을 붐(boom)에 달아 카메라와 연계하여 운용하거나 핀 마이크로폰(pin mic)을 출연자의 의복에 부착하여 사용한다.

반응형

 

1-3) 조명 설비

텔레비전 스튜디오의 조명 설비는 스튜디오 내에 임의 위치에 라이트를 걸어 밑으로 내리는 행거(hanger), 라이트의 밝기를 장면에 맞추어 조정하는 조광 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카메라와 마이크 등이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어야 하므로 조명 기구를 천장에 매다는 방식(배턴 방식)을 많이 사용한다. 배턴 방식은 스튜디오의 용도에 맞추어 배치되지만 조명작업 능률을 감안하며 간격은 1.3~1.5 m가 가장 적절하다.

 

2) 부조정실

부조정실(subcontrol room)은 스튜디오에서 프로그램 제작과 관련된 스튜디오 카메라, 영상 모니터, 비디오 스위처, 녹화기, 특수 효과 장치, 음성 조정 장치, 플레이어와 조명 설비 등 모든 장비를 조정하는 장소이다.

일반적으로 부조정실 한쪽 벽면은 모니터로 가득 채워져 있다. 이것은 스튜디오 카메라와 연결되며 카메라 영상 모니터(3~8대)와 인서트용 VCR(2~5대), 프리뷰 모니터(PVW), 프로그램 모니터(PGM), 문자 발생기 등 다양한 모니터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모니터를 보면서 프로듀서(PD)는 출연자를 연출시키며, 기술 감독은 기술 스텝을 지휘한다.

 

3) 주조정실

주조정실(master control room)은 제작된 녹화 테이프를 방송하거나 생방송을 바로 송출하는 장소이다. 방송 프로그램, 방송 예고, 광고, 공지 사항, 방송사 자체 광고 등을 프로그램 편성된 시간에 따라 정확한 시간에 방송을 송출하는 장소이다.

 

4) 지원 설비

스튜디오에서 프로그램을 제작할 때에는 특별한 분위기를 만들어 내기위한 삼차원 구조물과 세트나 소품들을 보관하는 소품 보관실이 필요하다. 또한 의상실이나 분장실, 필요한 자료를 수집하는 자료실, 녹음과 편집을 위한 녹음실이나 편집실 등과 같은 지원 설비가 있어야 한다.

 

 

2. 방송 제작 인력

1) 방송 제작 스태프

1-1) 연출자

연출자는 일반적으로 피디(PD)라고 말하며 칩 프로듀서(chip producer)와 프로그램 디렉터(program director)로 구분된다. 칩 프로듀서는 제작 스태프를 편성·총괄하며 프로그램의 기획, 예산 관리, 제작·출연자의 선정, 스케줄 관리를 하는 프로그램 제작의 총책임자이다. 프로그램 제작의 실제 연출은 프로그램 디렉터가 한다. 프로그램 디렉터는 연출 계획을 짜고 출연자를 포함한 각 담당자에게 연출 의도를 전하여 목적하는 프로그램을 종합적으로 구성하기 위한 연출을 한다. 연출자는 제작 회의를 거쳐 결정된 대본과 각종 제작 장비와 제작비, 제작 일정에 따라 프로그램을 연출한다. 또한 대본을 기초로 촬영 콘티를 만들고 연출을 하는 실무 감독이기도 한다.

 

1-2) 조연출

조연출(AD: Assistant Director)은 연출자가 하는 전반적인 업무를 보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출연자나 미술, 분장 등의 제반 준비를 하고 프로그램 제작 시간도 확인하여 연출자가 업무를 수행하는 데 차질이 없도록 보조하는 역할을 한다.

 

1-3) 작가

작가(scripter)는 프로그램 제작에 필요한 방송용 대본을 작성하는 사람이다. 드라마의 경우는 한번 결정된 대본에 대하여 PD가 해석하고, 제작하는 데 더 이상 관여하지 않는 경우가 많으나 다큐멘터리의 경우에는 작가와 연출자가 협의하여 프로그램의 방향을 결정하며 촬영과 편집이 끝나면 내레이션 대본을 작성한다.

 

1-4) 무대 감독

무대 위에서 연출을 감독하는 무대 감독(FD: Floor Director)은 연출자의 대리인으로 녹화 당일 출연자의 출석, 의상과 분장 등의 모든 준비상황을 일일이 점검하고 준비를 한 후 연출자의 지시에 따라 큐와 컷을 준다. 작은 규모의 무대 진행을 전담하거나 간단한 촬영과 제작 전반 업무에서 PD와 AD를 보조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 Fig03. FD의 큐 신호 >

 

2) 방송 기술 스태프

2-1) 기술 감독

기술 감독(TD: Technical Director)은 제작 기술 분야의 총책임자로 기술 스태프를 총괄하여 관장하며 프로그램 제작에 필요한 기기의 조작을 비롯한 모든 기술적 업무를 감독하고 지휘한다. 프로그램의 준비단계에서 편집 및 최종 완성에 이르기까지 관여하며 방송 기자재 및 PD와 협력하여 프로그램 제작을 원활하게 한다.

 

2-2) 조명 감독

조명 감독(LD: Lighting Director)은 조명의 책임자로 프로그램의 분위기를 전달하여 주고 무대를 설정 또는 미화하여 주는 역할 외에 극적인 분위기 전환 및 충격과 효과를 제공하여 주기도 한다.

 

2-3) 카메라 감독

카메라 감독(CD: Camera director)은 프로그램 제작 시 영상 이미지 생산의 최일선에서 영상을 담는 카메라맨의 총책임자로서 카메라를 통솔 지휘하여 각 프로그램에서 최상의 영상을 만드는 데 중심적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2-4) 음향 감독

음향 감독(AD: Audio Director)은 오디오에 대한 모든 것을 책임지는 사람으로서 제작 전 PD와 협의하여 계획을 수립하고 오디오에 대한 모든 기자재를 준비하고 관리한다.

 

2-5) 미술 감독

미술 감독(art designer)은 무대 장치를 포함한 미술 분야 전반을 관리한다. 연출자 및 조명 감독과 협의하여 프로그램의 전체적인 디자인을 담당하고 세트를 설치할 때 총괄한다. 또한 세트 이외에도 소품, 분장, 의상 등 시각적 효과 전반에 걸쳐 창의성을 발휘하여 제작하고 감독한다.

 

2-6) 영상 엔지니어

영상 엔지니어(VE: Video Engineer)는 방송 프로그램의 모든 비디오의 조정을 책임지는 사람으로 기술 감독의 최종 처리를 거친 영상 신호와 음향 신호를 VCR 테이프에 최종적으로 수록한다. 또한 프로그램의 제작에 사용하는 부조정실 내의 카메라를 포함한 모든 영상 기기에 대한 운용과 보수 관리를 담당한다.

 

2-7) 기타 기술 인력

이 밖에도 방송용 프로그램을 제작할 때에 필요한 인력은 매우 많다. 스튜디오나 야외에서 제작된 미완성 프로그램의 영상 자료나 음향 효과 보완, 내용의 삭제와 삽입, 자막 등을 처리하여 완성된 프로그램 제작에 도움을 주는 기술 보조 요원, 스위처, 방송 기기의 점검과 수리를 담당하는 보수 요원, 각 중계소나 송신소에서 중계 또는 송출의 업무를 담당하는 송출 요원 등이 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