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순시전압강하
선로사고 발생시 보호계전기로 사고전류를 검출하여 차단기를 고속도로 개방, 절단하지만 그 때까지의 시간(0.07~2초)동안 사고설비를 중심으로 한 광범위하고 대폭적인 전압저하 현상을 순시전압강하라고 한다.
· 저전압(under voltage)
· 극저전압(sag voltage)
· 고전압(over voltage)
· 극고전압(surge voltage)
· 순간정전(voltage dropout)
· 정전(voltage inturuption)
· 충격전압(impulse voltage)
· 고조파(harmonic distortion)
1) 순시전압강하의 원인
1-1) 전기사업자측에 의한 원인
· 차단기의 동작책무로 인한 재폐로 동작.
· 배전설비기기의 재폐로 동작.
1-2) 수용가 자체설비에 의한 원인
· 사고정전 : 낙뢰, 지락, 단락 등
· 전압강하 : 부하과중(기동 등), 선로 굵기 미흡, 장거리배전선, 고압전동기의 Plugging(역상제동)
· 전압불평형 : 각 상 부하의 불평형 등
· 플리커 : 단상쿨러, 용접기, 유도전동기 등의 사용으로 선로에 파급되는 플리커로 인한 전압강하 및 쇼크
· 고조파 : 고조파 성분의 침입으로 인한 전압강하 및 발열등에 의한 전압강하로 보통 정상전압의 30% 이하이다.
· 변압기나 선로용량을 초과하여 사용시
· 사이리스터 장비사용 증가시
2) 순시전압강하의 영향
★ 정전
1/2 Cycle에서 장시간 동안 전원이 차단 되는 것으로서 계통전환, 기계스위치의 절체시 주로 발생.
★ 저전압, 과전압
수십 Cycle 이상 동안 지속하여 전압이 낮게 또는 높게 나타나는 현상
★ Impulse
통상 1μsec-2msec의 폭으로 수백에서 수천볼트의 Spike성으로 나타나는 전압으로 부하기기에 치명적인 손상을 준다.
★ Surge/Sag
전압이 순간적으로 상승하거나 하강하는 현상으로 수msec에서 수 Cycle 동안 지속.(반파에서 극대 및 극소가 되는 것을 말한다.)
3) 순시전압강하의 범위
일반적으로 정상전압의 30% 이하의 순시전압강하가 3cycle(0.07초) 이상 발생하면 영향을 미친다.
유도전동기 기동시 전압강하의 허용한도는 일반적인 발전기의 경우 20%, 전력계통의 경우 15%로 하면 타당하다.
4) 부하별 허용 순시 전압강하의 범위
5) 순시전압강하 방지대책 (안정화 전원장치)
안정화 전원장치란 부하가 변화해도 전압의 변동이 없도록 되어있는 전원
◎ UPS는 CVCF(Constant Voltage Constant Frequency) 장치에 축전지를 결합한 장치로 정전시에도 일정시간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춘 장치를 말한다.
2. 교류회로의 전압강하 제 요인
· 부하역율, 회로의 유도리액턴스 : 전압강하에 영향을 미친다.
· 표피효과, 근접효과, 전선부근에 존재하는 동의 영향(금속관 수납시)
절연전선(Insulated Wire) 및 전력케이블(Power Cable)의 특징 (0) | 2022.08.25 |
---|---|
케이블(Power Cable)등의 기계적강도(장력,열적용량,안전율 등) 고려사항 (0) | 2022.08.24 |
허용전압강하(Voltage Drop) 계산방법 / 전압강하의 영향 (0) | 2022.08.22 |
단락시허용전류 / 허용전류의 영향요소 (0) | 2022.08.18 |
전선의 허용전류(Current Carrying Capacity) 계산방법 (0) | 2022.08.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