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서지보호장치(SPD : Surge Protective Divice)의 시설이 필요한 경우
① 저압 배전선 및 전기설비 부근의 낙뢰에 의해 공급 배전계통에서 전파되는 과도 과전압 및 통신계통, 접지계통 등을 통하여 위험한 과전압이 유입될 수 있으므로 전기설비 등을 보호하기 위해서는 SPD를 필요로 한다.
② SPD의 시설이 필요한 경우는 그림(Fig01)과 같다.
< Fig01. SPD의 시설이 필요한 경우에 대한 흐름도 >
< Fig02. 연간 뇌우일수도(IKL Map : 1996~2004, 한국전력연구원 제공) >
< 표01. 기기에 필요한 정격 임펄스 내전압 >
설비의 공칭전압*
(V) |
필요한 임펄스 내전압
(㎸) |
||||
3상 계통
|
단상3선
|
설비 인입구의 기기
(뇌임펄스 카테고리Ⅳ) |
간선 및 분기 회로의 기기
(뇌임펄스 카테고리Ⅲ) |
부하 기기
(뇌임펄스 카테고리Ⅱ) |
특별히 보호된 기기
(뇌임펄스 카테고리Ⅰ) |
-
|
120-240
|
4
|
2.5
|
1.5
|
0.8
|
(220/380)
230/400** 277/480** |
-
|
6
|
4
|
2.5
|
1.5
|
400/690
|
-
|
8
|
6
|
4
|
2.5
|
1,000
|
-
|
시스템 기술자가 지정한 값
|
|||
주 * IEC 60038(표준전압)에서 인용
** 캐나다와 미국에서 대지 전압이 300 V를 초과하는 경우에 동일 카테고리 단의 높은 전압에 해당하는 임펄스 내전압을 적용한다. ( )안은 현재 국내에서 사용하는 전압으로 장래에 IEC 60038 표의 전압을 사용하기를 권장한다. |
|||||
카테고리Ⅰ은 특별한 기기의 설계와 관련이 있다.
카테고리Ⅱ는 주 전원에 접속하는 기기의 제품 위원회와 관련이 있다. 카테고리Ⅲ는 설비 재료의 제품 위원회 및 특별 제품 위원회와 관련이 있다. 카테고리Ⅳ는 전기 사업자와 시스템 기술자와 관련이 있다. |
* 단상3선식의 220 V에서는 단상3선 란을 적용하며, 3상3선식의 220 V는 (220/380)란을 적용한다.
* 과전압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SPD의 사양을 이러한 임펄스 내전압보다 작게 설치하여야 한다. 이러한 예를 나타내면 그림(Fig03)와 같다. IEC 60364-4-44(2001)에서 규정하고 있는 건축물에서의 뇌임펄스 카테고리를 그림(Fig04)에 나타내었다. 4개의 카테고리로 분류되어 있으며 대상은 그림에 나타낸 장소 및 설비기기이다.
< Fig03. 과전압 카테고리에 있어서 바람직한 분류 >
< Fig04. 뇌임펄스 카테고리의 SPD 사양 사례(단상 220V) >
2. SPD의 규격, 형식 및 사양 등
1) SPD 관련 규격
< 표02. SPD 규격 >
규격명칭
|
규격번호(제정년도)
|
|
IEC
|
KS
|
|
저압배전계통의 서지보호장치
|
|
|
제1부 : 성능 및 시험방법
|
61643-1(2002)
|
KSC IEC 61643-1(2003)
|
제12부 : 선정 및 지침
|
61643-12(2002)
|
KSC IEC 61643-12(2005)
|
제 311부 : 가스방전관 규정
|
61643-311(2001)
|
KSC IEC 61643-311(2003)
|
[기본정보(General basic information)]
|
(TR 62066)
|
|
통신 및 신호망에 연결된 서지보호장치
|
|
|
제21부 : 성능요건과 시험방법
|
61643-21(2002)
|
KSC IEC 61643-21(2005)
|
제22부 : 성능 및 적용방법
|
61643-22(2002)
|
|
2) SPD의 형식
㈎ 저압배전시스템에 이용되는 SPD의 형식은 3종류의 클래스(등급)시험에 의해 분류되며, 각각의 타입 SPD는 표 3의 시험에 합격한 것이어야 한다.
< 표03. SPD의 형식 및 클래스 시험 >
SPD 형식
|
SPD에 실시할 시험 종류
|
시험항목 (KS C IEC 61312-1에 의함)
|
타입 Ⅰ
|
클래스 Ⅰ 시험
|
Iimp, In
|
타입 Ⅱ
|
클래스 Ⅱ 시험
|
Imax, In
|
타입 Ⅲ
|
클래스 Ⅲ 시험
|
Uoc
|
㈏ 클래스 Ⅰ시험
⒜ 공칭방전전류 In 및 최대임펄스전류 Iimp로 실시하는 시험을 말한다.
⒝ Iimp는 피뢰설비로부터 부분적인 뇌임펄스 전류를 상정한 시험조건에서 표 3의 Iimp 변수로 나타내는 조건으로 시험한다.
⒞ 이 시험조건에 가까운 뇌임펄스 파형은 10/350 ㎲ 파형으로 큰 에너지를 갖는 직격뢰에 대응하기 위한 시험이다.
⒟ 속류차단성능이 필요하고 스파크 갭식의 SPD가 해당된다.
< 표04. Iimp 변수 >
Iimp 변수
|
기호
|
단위
|
규격 값
|
||||
50 ㎲이내의 전류최대 값
|
Ipeak
|
㎄
|
1
|
2
|
5
|
10
|
20
|
10 ㎳이내의 전하량
|
Q
|
As
|
0.5
|
1
|
2.5
|
5
|
10
|
10 ㎳이내의 에너지양
|
W/R
|
kJ/Ω
|
0.25
|
1
|
6.25
|
25
|
100
|
㈐ 클래스 Ⅱ시험
⒜ 공칭방전전류In 및 최대방전전류 Imax로 실시하는 시험을 말한다.
⒝ Imax는 SPD의 최대전류내량에서 통상 Imax>In이다.
⒞ 유도뢰 서지에 대응하기 위한 것으로 파형은 8/20 ㎲이다.
⒟ 다이오드나 바리스터 등의 대부분 SPD가 해당된다.
㈑ 클래스 Ⅲ시험
⒜ 콤비네이션파형(1.2/50 ㎲ 전압임펄스, 8/20 ㎲ 전류임펄스)의 개회로전압(Uoc)으로 실시하는 시험을 말한다.
⒝ 다이오드나 바리스터 등의 대부분 SPD가 해당된다.
㈒ 클래스 Ⅰ시험에 적합한 타입 I의 SPD는 일반적으로 직격뢰가 배전선으로 분류했을 경우의 뇌임펄스에 의한 피해를 방지하는 것으로 피로;설비가 있는 건축물에서 건축물 또는 설비의 인입구 부근에 설치한다.
㈓ 클래스 Ⅱ시험 또는 클래스 Ⅲ시험에 적합한 타입 Ⅱ 또는 타입 Ⅲ의 SPD는 배전선 내로 유도된 뇌임펄스에 의한 피해를 방지하는 것이다. 건축물 또는 설비의 인입구 부근에는 타입 Ⅱ설비 또는 기기 부근에는 타입 Ⅱ 또는 타입 Ⅲ의 SPD를 설치한다.
3) SPD의 사양
㈎ SPD 사양은 각각의 타입별로 표 5와 같이 임펄스전류, 공칭방전전류, 개회로전압, 최대연속사용전압 및 전압보호수준의 규격 값을 규정하고 있다.
㈏ 일반적으로 타입 Ⅰ은 뇌임펄스 전류가 부분적으로 전파되는 고 피뢰장소(예를 들어 피뢰설비에 의해 보호되고 있는 건축물에 대한 공급선 인입구)에 설치할 수 있다.
㈐ 타입 Ⅱ, 타입 Ⅲ는 일반적으로 저 피뢰장소에 설치할 수 있다.
< 표05. SPD의 사양 >
SPD 형식
|
임펄스전류
|
공칭방전전류
|
개회로전압
|
최대연속사용전압
|
전압보호수준
|
Iimp
|
8/20
|
콤비네이션
|
50/60 Hz
|
1.2/50 ㎲
|
|
Ipeak [㎄]
|
In[㎄]
|
Uoc[㎸]
|
Uc[V]
|
Up[㎸]
|
|
타입 Ⅰ
|
5, 10, 20
|
5, 10, 20
|
-
|
110, 130, 230,
240, 420, 440 |
4, 2.5
|
타입 Ⅱ
|
-
|
1, 2, 5, 10, 20
|
-
|
2.5, 1.5
|
|
타입 Ⅲ
|
-
|
-
|
2, 4, 10, 20
|
1.5
|
절연구조 및 절연재료(Insulating Material)의 종류 (0) | 2023.12.22 |
---|---|
변압기 절연유(Transformer Oil)의 종류 (0) | 2023.12.21 |
수배전반(Electric Cubicle) 선정방법 - 고압배전반, 저압배전반, DC배전반 등 (0) | 2023.12.19 |
유입차단기(O.C.B : Oil Circit Breaker)의 구조 및 절연유의 열화원인 (0) | 2023.12.18 |
SPD(Surge Protector Device) 보호장치의 계통도 및 기타사항 (0) | 2023.12.15 |